청조 근정훈장

정부가 지난해 2만6000명 이상에게 훈장을 수여해 평시 기준으로는 정부 수립 후 최대 규모의 포상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훈장을 받은 10명 중 9명은 퇴직 공무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2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정부가 수여한 훈장은 지난해 2만6602건으로 2014년(2만1669건)에 비해 23% 증가했다. 2013년(1만3601건)의 2배 수준이다.

지난해 훈장은 직무에 공적이 있는 공무원(군인·군무원 제외)이 받는 근정훈장(勤政勳章)이 전체의 86%인 2만2981건을 차지했다. 33년 넘게 일하고 퇴직하는 공무원은 해당 부처의 공적심사위원회 추천과 대통령 재가를 거쳐 근정훈장을 받을 수 있다. 근정훈장은 청조(1등급), 황조(2등급), 홍조(3등급), 녹조(4등급), 옥조(5등급)로 나뉜다. 근속 기간이 25년 이상~33년 미만인 퇴직 공무원은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근정포장을 받는다.

근정훈장은 2013년 1만680건, 2014년 1만8548건이었다가 작년에 2만3000건으로 치솟았다. 공무원과 교사들 사이에서 명예퇴직 바람이 불었던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그 결과 지난해엔 훈장 10개 중 9개가 퇴직 공무원 몫이 됐다.

대한민국 훈장은 국민이나 우방 국민으로서 뚜렷한 공을 세운 자에게 주어진다. 현직 대통령과 배우자가 받는 무궁화대훈장을 비롯해 12종이 있다. 무궁화대훈장은 등급이 한 가지이고, 나머지 훈장 11종은 각각 5등급으로 나뉜다. 김영삼 정부 5년간 8500여명이었던 수훈자(受勳者)는 이명박 정부 때 7만2000여명으로 늘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2월 이후 지금까지는 6만여명이 훈장을 받았다. 이런 추세라면 박 대통령이 재임하는 동안 훈장을 받는 인원은 1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전시를 포함해 훈장 수여가 가장 많았던 해는 6·25전쟁 휴전 이듬해였던 1954년이었다. 전시에 공적을 세운 군인 등 7만7만2903명이 훈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