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방송화면 캡처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8월 숨진 천경자 화백에 대해 금관 문화훈장을 추서하기 않기로 했다. 그동안 활동 실적이 미미했고 사망을 둘러싼 논란과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천 화백의 업적과 지명도를 고려할 때 정부의 이번 결정이 그와 국립현대미술관의 불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음은 TV조선 보도 원문.

☞해당 기사를 TV조선 동영상으로 보기

[앵커]
정부가 지난 8월 숨진 천경자 화백에 대해 금관 문화훈장을 추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천 화백의 업적과 지명도를 생각하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천경자 화백에 대해 정부 당국이 불편한 심기를 갖고 있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황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8월 뉴욕에서 숨진 천경자 화백은 1983년 은관 문화훈장을 수상했습니다.

1952년 뱀을 그린 '생태'를 발표한 이후 수십년 대표적 화가였고, 이런 예술가는 사망 후 훈장을 추서하는 게 관례인만큼 여성 화가 첫 금관 문화훈장을 받을지도 관심이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그러나 천 화백에 금관 훈장을 추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활동 실적이 미미했고 사망을 둘러싼 여러 논란과 의혹을 고려했다는 겁니다.

천 화백은 1991년 '미인도'위작 논란을 겪으면서 절필 선언을 했고 예술당국과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습니다.

대한민국 예술원은 천 화백의 생사를 알 수 없다는 이유로 지난해 2월부터 수당 지급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사망을 공식 확인한만큼 지급하지 않았던 19개월분 수당과 장례비 보조금은 유족에게 전할 계획입니다. 미술계는 고인의 위상과 업적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는 반응입니다.

천 화백이 한국 미술사에 독자적 화폭을 개척했고 서울 시립 미술관에도 주요 작품 다수를 기증했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이 결국 천경자 화백과 국립현대미술관의 불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TV조선 황민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