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기역 받침이 들어가는 동사는 뭐가 있을까요?" "조기를 '엮다'" "배추를 '묶다'" "열무를 '솎다'".
지난 1일 오전 11시 경기 성남시 중원구 창세학교에선 한글 강의가 한창이었다. 머리에 흰 서리가 내려앉은 학생들 입에선 온갖 식(食)재료 이름이 튀어나왔다. 학생들은 한 손엔 샤프펜슬을, 다른 손엔 지우개를 쥐고 한글 강사 황영미(50)씨의 칠판 필기를 따라 공책에 한글을 써내려갔다. 남낙순(76)씨 등 할머니 16명이다.
남낙순 할머니는 아픈 어머니 곁에 있느라 초등학교에 들어간 지 몇 달 안 돼 학교를 그만뒀다. 공부엔 때가 있다더니, 한 번 때를 놓치니 그 길로 그만이었다. 친척들은 "영특하던 아이가 바보가 됐다"며 할머니를 볼 때마다 안타까워했다. 커서 시집을 갔고 웬만한 살림은 척척 해냈지만, 글을 모르니 은행일만큼은 남편 손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그때마다 못 배운 게 한(恨)이 됐고, 70년 만에 다시 책상 앞에 앉았다. "공부 대신 엄마를 택했던 건 후회 안 해. 돌아가신 엄마는 임종 직전까지 내 이름만 불렀거든. 하지만 더는 은행 문 앞에서 벌벌 떨기 싫었어."
까막눈이었던 이모(55)씨는 죽음의 문턱에 두 번 다녀오고서 국어책을 들었다. 간경화를 심하게 앓던 이씨는 15년 전 11시간에 걸친 대수술을 받았다. 2012년에는 아들에게서 간 이식 수술을 받았다. 죽음을 준비하던 이씨는 기적적으로 살아났고, 새 삶을 얻고 나니 글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간절했다고 한다. "늦게라도 배워야 해." 이씨가 한글을 배우고 쓴 첫 번째 시(詩) '나의 2모작 삶'의 한 구절이다.
'악바리' 조정자(66)씨는 이날 교실 맨 앞줄에 앉아 선생님의 설명에 연방 고개를 끄덕였다. 충부 충주에서 6남매의 맏딸로 태어난 조씨는 동생들을 업어 키우고 공부시키느라 학교에 가지 못했다. 그 시절 큰딸은 집안의 살림 밑천이었다. "어려서 못 배운 팔자(八字)가 어디 가겠어?" 어려선 동생을 업어 키우고 커선 돈을 벌어 동생들을 학교 보냈다. 아들도 대학원 공부까지 시켰다. 언제부턴가 아들이 못 알아들을 '유식한' 말을 쓰면 "그래, 나 글자 모른다!'며 자주 화를 냈다. 조씨는 "한글학교에서 글을 배우고부터 아들과 마음으로 화해했다"고 했다.
정태선(68) 할머니는 지하철을 공짜로 탈 수 있는 만 65세가 되자마자 한글학교에 등록했다. "학교 가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은데 빠듯한 살림에 차비가 부담됐어." 정씨는 어릴 때 '계집아이는 공부할 필요 없다'는 아버지의 말에 초등학교를 접었다. 육십이 넘어 학교를 어렵게 다시 찾았지만 처음엔 도망치고 싶었다. "학교에 오면 입안이 바싹 마르고 식은땀이 줄줄 나. 이 나이에 한글을 배우려니 정말 어렵더라고. 그렇지만 내 몸이 부서질 때까지 다닐 거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문해(文解)교육 동아리 '페안제'가 할머니들에게 3년째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페안제는 교육학 용어 '페다고지(아동교육)' '안드로고지(성인교육)' '제라고지(노인교육)'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때를 놓쳐 한글을 배우지 못한 한국의 문맹(文盲) 인구는 264만명으로 전체 성인 인구의 6.4%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