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빈도’란 하나의 낱말이 어떤 의미로 얼마나 자주 쓰이는가를 밝힌 사용 빈도수이다. 에서는 서상규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장의 저서『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을 토대로 낱말의 실제 쓰임에 얽힌 이야기를 소개한다.
“밥 한번 살게요”
상대방에게 도움을 받았거나 신세를 졌을 때 한국인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다. 상대에 대한 고맙거나 미안한 마음이 함축된 표현으로 한국인만의 ‘밥 문화’가 반영된 인사다. 식사를 함께 한다는 것은 단순히 밥을 먹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사다’는 비용을 지불하고 그 물건을 제 것으로 만든다는 뜻으로, ‘~을/를 사다’의 꼴로 쓰이는 동사다.
에 따르면 ‘사다’는 ‘물건을 사다’의 의미(94.2%)가 압도적으로 높게 쓰인다.
‘사람을 사다’와 같이 비용을 치르고 노동력을 얻는 것에도 ‘사다’를 쓸 수 있다. ‘부러움을/노여움을 사다’에서 ‘사다’는 (다른 사람에게) 어떤 감정을 가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돈을 내고 음식을 함께 먹거나 나누는 것을 ‘밥을/점심을/술을 사다’ 등과 같이 표현한다(4.2%). 여기에서 ‘사다’는 단순히 ‘구매하는 행위’가 아니다. 자리를 함께 하여 상대와의 관계를 맺어 간다는 의미가 함축된 점이 흥미롭다.
‘사다’의 굳어진 꼴로 쓰인 예로 ‘높이 사다’와 ‘사서 ~’가 있다. ‘그 사람의 능력을 높이 사다’라고 하면 ‘어떤 가치를 인정한다’는 뜻이 된다. ‘사서 고생을 하다’에서 ‘사서~’는 ‘가만히 있으면 좋은 일을 굳이’라는 의미다.
상대방에게 도움을 받았거나 신세를 졌을 때 한국인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다. 상대에 대한 고맙거나 미안한 마음이 함축된 표현으로 한국인만의 ‘밥 문화’가 반영된 인사다. 식사를 함께 한다는 것은 단순히 밥을 먹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사다’는 비용을 지불하고 그 물건을 제 것으로 만든다는 뜻으로, ‘~을/를 사다’의 꼴로 쓰이는 동사다.
에 따르면 ‘사다’는 ‘물건을 사다’의 의미(94.2%)가 압도적으로 높게 쓰인다.
‘사람을 사다’와 같이 비용을 치르고 노동력을 얻는 것에도 ‘사다’를 쓸 수 있다. ‘부러움을/노여움을 사다’에서 ‘사다’는 (다른 사람에게) 어떤 감정을 가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돈을 내고 음식을 함께 먹거나 나누는 것을 ‘밥을/점심을/술을 사다’ 등과 같이 표현한다(4.2%). 여기에서 ‘사다’는 단순히 ‘구매하는 행위’가 아니다. 자리를 함께 하여 상대와의 관계를 맺어 간다는 의미가 함축된 점이 흥미롭다.
‘사다’의 굳어진 꼴로 쓰인 예로 ‘높이 사다’와 ‘사서 ~’가 있다. ‘그 사람의 능력을 높이 사다’라고 하면 ‘어떤 가치를 인정한다’는 뜻이 된다. ‘사서 고생을 하다’에서 ‘사서~’는 ‘가만히 있으면 좋은 일을 굳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