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 내용을 확인한 북한 정권이 김양건 대남 비서, 원동연 제1부부장, 등 관련자를 대대적으로 조사하고, 특별 검열하고 있다고 중앙일보가 16일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이 전 대통령의 회고록 중 남북한 비밀 접촉 등을 기술한 것을 두고 북한 당국이 대대적인 조사를 했다”며 “대남사업의 총수 격인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 비서, 그리고 원동연 제1부부장과 맹경일 부부장 등 통일전선부 소속 고위 인사들이 조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현재는 이들뿐 아니라 실무진도 검열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정권이 문제삼는 부분은 '북한이 … 정상회담을 하는 조건으로 우리 측이 옥수수 10만t, 쌀 40만t, 비료 30만t과 아스팔트 건설용 피치 1억 달러어치를 제공하고, 북측의 국가개발은행 설립 자본금 100억 달러를 우리 정부가 제공하는…'('대통령의 시간'335쪽), 정상회담 추진 비화를 전하는 부분 중 '임(태희) 장관을 불러 어떻게 된 일인지 물었다…합의서를 써 준 적은 없습니다… 김양건이 그대로 가면 죽는다고 해서…'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5월 중국을 방문했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예정돼 있던 공연 관람을) 취소하고 평양으로 돌아갔다, 중국에 투자와 지원을 요청했으나 중국 측으로부터 원하는 답변을 얻지 못한 것이 아닌가”라는 문장도 북한 입장에선 한국에 지원을 구걸하거나 김정일과 관련한 정보가 새어 나갔다고 의심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김양건 대남 비서 등은 의혹을 벗고 업무에 복귀했지만, 상당수 인사들은 좌천 또는 숙청됐거나 혁명화 교육(사상교육)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