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45년 8월 일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당시 조선인 피해 상황을 담은 보고서를 일본어로 번역해 일본에 배포하기로 했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5일 "2010년 12월 발간한 '히로시마·나가사키 조선인 원폭 피해 진상조사 보고서'의 일본어판 1000부를 발행해, 피폭 70주기인 오는 8월 일본 전역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최초로 조선인 원폭 피해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당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 노무자 피해 현황이 자세하게 기술돼 있다. 당시 원폭 피해자는 총 74만명으로, 이 가운데 조선인은 1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최근 일본이 유네스코 산업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나가사키 조선소'에 조선인이 강제 동원됐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조선인 강제동원 실상을 담은 보고서 등을 일본어판으로 만들어, 일본이 아시아태평양전쟁을 통해 한국인에게 끼친 피해의 실상을 일본 사회에 전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