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는 제2롯데월드 수족관 누수 현상에 대한 정부합동안전점검단의 점검 결과, 누수 장소가 2곳 더 발견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롯데월드 측에 정밀안전진단을 요구하는 행정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건축시공·토목구조·전기안전·재난관리 4개 분야 전문가 11명으로 이뤄진 정부합동점검단은 10일 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과 지하 변전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시행했다. 점검 결과, 알려진 수족관 외에도 벨루가 수족관 주변 등 다른 2곳에서 누수 현상이 발견됐다.
 
김찬오 정부합동점검단장은 "시공 과정상 하자로 인해 물이 새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면서 "수조 내부 물의 하중을 받아 수조 외벽을 형성하는 아크릴판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곡면 모양의 아크릴판에 물의 하중으로 인한 힘이 작용하는데, 이 무게가 아크릴판과 콘크리트벽을 고정하는 실란트(접착재료)를 변형시켰을 가능성이 있다"며 "곡면부와 평면부의 실란트 두께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나 시공상 하자가 의심된다"고 설명했다.
 
누수 원인에 대해선 결로(結露) 현상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점검단은 결로현상이 발생했다고 볼만큼 수조 안팎의 기온 차가 심하지는 않다고 결론내렸다. 수조의 아크릴과 콘크리트벽, 접착재료(실란트) 등을 확인한 결과, 재료상 결함도 나타나지 않았다.
 
김 단장은 "수족관 누수로 인한 대량 방류사태 발생 가능성은 적으며, 지진 등으로 인한 대량 방류사태 발생 시 크게 우려되었던 변전소의 안전성은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방류된 물의 변전소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롯데월드 측에서 12월 중 공사예정인 상시폐쇄형 차수문(필요시 버튼식 개방) 설치를 완료하면 변전소 침수가능성은 더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점검단은 추가 누수 장소가 확인됐으니만큼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선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서울시에 롯데월드 측에 정밀안전진단 명령과 함께 점검결과 드러난 문제점 보완을 요구하고, 정밀안전진단 결과가 나오는 대로 실란트 전면 재시공 등 필요한 후속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점검결과 발표에선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의 대피통로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점검단은 "대피통로에 대한 안내도가 없어 긴급 재난 발생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과 위기관리 매뉴얼 및 재해경감계획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