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내 휴대전화 데이터 이용량이 처음으로 월 10만 테라바이트(TB·1TB는 1000GB)를 넘어섰다. 이는 세계 최대 미 의회도서관 1만개를 지을 수 있는 데이터양이다. 이렇게 막대한 데이터는 주로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에서 발생했다.

31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7월 이동전화 단말기별 트래픽 현황에 따르면 휴대전화 전체의 트래픽은 10만2182TB를 기록했다.

서비스별로는 LTE스마트폰이 9만3746TB로 전체의 91.7%를 차지했다. 3G 스마트폰 8368TB, 2G와 3G 피처폰 67TB를 각각 기록했다. 국내에서 휴대전화에서 소비된 데이터 10분의 9가 LTE 서비스에서 발생한 셈이다.

휴대전화 전체의 트래픽은 올해 초 7만2938TB를 기록했으며 이후 급증세가 계속됐다.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한 배경에 대해서는 LTE 데이터 사용증가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LTE가입자의 트래픽은 지난 5월 처음으로 7만TB를 돌파했다. 이후 매월 1만TB씩 늘어나며 6월 8만3644TB, 7월 9만3746TB를 기록했다.

반면 3G 트래픽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2012년 7월 3G의 데이터 이용량은 2만2611TB로 LTE의 1만5501TB보다 높았다. 하지만 이용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같은 해 10월 LTE에 추월당했다.
지난달에는 LTE 트래픽은 9만3746TB로, 3G 트래픽 8368TB의 10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