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만우절은 우리나라 풍습일까? 아니다. 만우절 유래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가설 중, 16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됐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매년 4월 1일은 만우절로 가벼운 장난이나 그럴듯한 거짓말로 남을 속여도 용서받을 수 있는 날이다. 서양에서는 만우절을 '에이프릴풀스데이(April Fools' Day·4월 바보들의 날)'라고 부른다.
이에 서양 풍습으로 만우절에 속아 넘어간 사람은 '4월 바보(April fool)' 또는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이라고 놀리기도 한다.
옛날의 신년은 현 달력의 3월 25일쯤이었다. 3월 25일부터 그때부터 4월 1일까지 춘분의 제사가 널리 행해지고, 그 마지막 날에는 선물을 교환 하는 풍습이 있었다.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1564년에 샤를 9세가 새로운 역법을 채용해서 신년을 현행의 1월 1일로 고쳤다. 하지만 4월 1일이 신년 축제의 최종일이라고 생각되어서 그날 선물 교환하는 풍습은 그대로 남았다.
그중에는 새해가 온 것을 기뻐하지 않는 사람들이 4월 1일에 옛날의 정월을 숨기고, 성의없는 선물을 하거나 신년 연회의 흉내를 내서 장난을 친 것에서 유래하여 유럽 각국에 퍼졌다고 보고 있다.
만우절 유래에 네티즌들은 "만우절 유래 프랑스에서 시작된 것이군", "만우절 유래 알고 보니 재밌네", "만우절 유래 이제 거짓말쳐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입력 2014.04.01. 09:30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