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padding: 0 5px 0 0;"> <a href="http://www.yes24.com/24/goods/12021112?CategoryNumber=001001017001007001&pid=106710" target="_blank" title="새창열기"><img src="http://image.chosun.com/books/200811/buy_0528.gif" width="60" height="20" border="0" alt="구매하기"></a></span> <a href="http://www.yes24.com/home/openinside/viewer0.asp?code=12021112" target="_blank" title="새창열기"><img src="http://image.chosun.com/books/200811/pre_0528.gif" width="60" height="20" border="0" alt="미리보기"></a> <

문명과 수학|EBS '문명과 수학' 제작팀 지음|민음인|241쪽|1만5000원

사람은 본능적으로 수학을 한다. 보기만 하면 개수를 세고 양을 가늠하며 높이나 넓이를 궁금해한다. 문명을 세운 기둥 가운데 하나가 수학이라는 것을 이 책을 읽고 알았다. 피자 한 판 여덟 조각을 셋이 공평하게 나눠 먹는 법부터 아이가 좋아하는 팝업북, 월드컵 축구공, 아름다운 화음(和音), 어지러운 주식시장, 병원의 CT 촬영, 교통카드도 밑바탕에 수(數)가 있다.

수학과 담쌓은 사람도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안다.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을 a, b라 하고 빗변을 c라 하면 a²+b²=c². 고교 시절 집합과 명제, 인수분해까지 '열공'하다가 미적분, 확률과 통계에 이르러 "수학 포기했다"는 친구가 적지 않았다. 이 책을 먼저 접했다면 수학이 야멸차고 뻑뻑한 과목으로 남지 않았을 텐데.

고대 이집트와 바빌론에서도 '3, 4, 5'처럼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숫자들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왜 하필 피타고라스 이름이 붙었을까. 대장간을 지나던 피타고라스에게 평소와 달리 듣기 좋은 소리가 들렸다. 불의 온도, 쇠의 재질이 아니라 비밀은 '길이'에 있었다. 3과 2라는 숫자, 즉 도와 솔의 길이였다. 3분의 2 비율은 어떤 것이든 화음을 이룬다. 그는 계속 조화로운 소리를 찾았고 '피타고라스 7음계'는 그렇게 탄생했다.

피타고라스는 물이나 불, 흙 같은 물질에서 세상의 원리를 찾았던 그리스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세상을 구성하는 보이지 않는 수, 즉 '정신의 세계'로 사람들을 이끈 것이다. 수학은 법칙을 발견한 그로부터 출발했다고 해도 무방하다. "만물의 원리는 수이고, 만물은 수를 모방한다."

더 옛날 수학은 포식자로부터 양떼를 보호하려는 '거리 재기'에서 시작했다. 그러다 주변의 사물을 나누게 됐다. 하늘에 뜬 것과 땅에 있는 것, 죽은 것과 살아 있는 것,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인류는 마침내 항아리에 돌멩이를 넣거나 나무 막대 또는 짐승 뼈에 빗금을 새겨 양의 가치를 보존하기 시작했다. 라틴어 '칼큘러스(Calculus·계산)'는 '돌멩이'를 뜻하는 칼쿨리(Calculi)에서 왔다.

이집트 피라미드는 건축 자체가 수학이었다. 노동자 10명에게 급료로 빵 9개를 나눠주는 방식에도 분수(分數)가 필요했다.

이집트에서 수학은 제왕의 학문이었다. 피라미드 높이를 정하고, 노동자에게 급료를 나눠주고, 홍수로 지워진 토지 경계선을 다시 긋는 데 수학이 필요했다. '0'은 약 1200년 전 인도에서 발견됐다. 인도 사람들에겐 큰 수에 대한 그칠 줄 모르는 갈망이 있었다. 가장 작은 '0'을 만들고서야 큰 수를 표현하게 된 것이다. 수학이 움직이는 세계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미분(微分)부터다. 데카르트는 밤하늘 별을 보며 x축과 y축을 그려 좌표를 매겼고, 17세기 뉴턴과 라이프니츠는 더 나아가 미적분을 발견했다.

삼각형 내각들의 합은 평면에서 180도지만 지구본 위에 있는 삼각형이라면 180도보다 크고 솥뚜껑 안쪽에 그린 삼각형은 180도보다 작아진다. 이 '휘어진 공간' 개념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1년 EBS로 방송된 다큐멘터리를 옮긴 이 책은 수학의 역사와 발상의 전환을 흥미롭게 추적한다. 방송에서 다루지 않은 이슬람 수학이 추가됐다.

올해는 동계올림픽과 월드컵만 열리는 게 아니다. 오는 8월 서울이 개최하는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수학의 노벨상이라는 필즈상(Fields Medal·상금 100만달러)이 발표된다. 수학은 인류가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언어였다. 학교 울타리 밖으로 나오면 수학이 재밌다는 것을 증명하는 책이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박경미 홍익대 교수가 쓴 ‘수학 콘서트 플러스’(동아시아)를 추천한다. 영화 ‘다빈치 코드’, 소설 ‘해리포터’ 속 암호 해독에 숨겨진 수학을 일러준다. 음악·미술·야구·대칭으로도 수학을 이야기한다.

수학자 루돌프 타쉬너의 신간 ‘수학과 세계’(알마)도 읽을 만하다. 하늘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신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던 라플라스, 재물 따위를 셈하는 데 수를 사용할 수 없다며 상인과 자본가를 경멸한 피타고라스 등 수학의 눈으로 세계를 들여다본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