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적에도 못 오른 게.” “애도 못 낳은 게.” SBS 수목드라마 ‘상속자들’에 나오는 제국그룹 회장의 본처와 ‘첩(妾)’ 사이의 대화다.

첩이 지상파 TV 드라마에 쏟아지고 있다. 지난달 종영한 MBC ‘스캔들’의 김혜리는 1980년대 톱여배우이자 건축재벌 박상민의 첩으로, KBS ‘예쁜 남자’의 양미경도 MG그룹 회장의 아들을 낳은 첩으로 등장했다. MBC ‘금나와라 뚝딱’에선 아예 한 집에 두 명의 첩을 뒀다. 모두 현대극이다.

드라마 속 축첩(蓄妾)은 이미 제재를 받은 바 있다. 2011년 KBS ‘로맨스 타운’은 본처와 첩이 한집에 산다는 설정 등 가족·사회 질서에 어긋나는 내용을 담았다는 이유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시청자에 대한 사과 및 관계자에 대한 징계’를 받았다.

그럼에도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현행법 위반인 ‘축첩’이 버젓이 드라마에 출몰하는 까닭은 뭘까.

[- 기사 전문은 프리미엄조선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