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7일 개성공단에 남아 있는 한국 근로자들에게 식자재를 전달하려는 입주 기업인들의 방북(訪北)을 불허했다. 이 문제의 해법에 대해 이날 본지 주최로 대담(對談)을 한 전문가들은 '근로자 우선 철수'를 한목소리로 주장했다.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은 "북한이 개성공단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우리 입주 기업들을 상당히 괴롭힐 수는 있다"며 "국민이 인질이 될 수 있는 곳에 내버려두는 것은 국가의 할 일이 아닌 만큼 그곳에 남아 있는 우리 근로자들은 나오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이사장은 "남아 있는 근로자를 철수시키면 개성공단 문제가 오히려 빨리 해결될 수도 있다"며 "북한에 '자꾸 이렇게 장난치면 정말 공단 문을 닫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또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가 경공업부장을 지냈는데 그 영향력하에 있었던 개성공단이 최근 북한의 권력 투쟁 속에 휘말려 들었다'는 관측이 있다"고도 했다.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도 "북한이 무기 수출을 해서 1년 내내 벌어들이는 돈이 1억달러밖에 안 된다"며 "북한이 개성공단을 통해 1년에 벌어들이는 9000만달러라는 현금은 엄청나기 때문에 공단을 폐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그렇다고 정부가 지금 상황을 오랫동안 둬서는 안 된다. 인도적 차원에서 식자재를 반입하고 의료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정부가 북한 당국에 다시 요청해야 한다"며 "그래도 거절당하면 지금 남아 있는 근로자들의 인질화를 막기 위해 철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그동안 논의돼 왔던 3통(통행·통신·통관) 문제도 협의해야 하고, 개성공단이 '국제적인 기준'을 맞출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