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

확장적 통화정책 등으로 일본의 경제 부흥을 이끄는 아베 신조 정부가 이번엔 교육 개혁에 칼을 빼들었다. 일본 언론들은 8일 아베 총리와 집권 자민당 정부가 영어·수학·,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강화해 연간 10만 명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자민당은 이날 미국 대학 유학 등에 활용되는 영어능력평가시험인 토플(TOEFL)을 대학 입시에 의무화하고, 토플 IBT 기준 80점 이상 등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실력을 갖춘 교사의 비율을 공개하는 등 영어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초등학교 수학 과목에 전문교사제를 도입하고, 학생 전원에게 태블릿 PC를 지급하는 등 수학과 ICT 분야도 강화할 계획이다.

자민당 정부는 2000년대 초반 창의성과 자율을 존중한다는 '유토리(여유) 교육'이 일본의 학력 저하로 이어졌다고 판단하고 교육 부문에서 강한 일본을 재건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5월 총리 직속 교육재생실행회의를 열어 대학 교육 개혁 방안을 포함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자민당 교육재생실행본부는 이날 “경제 살리기를 위해서는 인재 양성이 필수”라며 “엘리트를 늘리는 전략적인 인재 육성이 목표”라고 밝혔다.

영어 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고등학교 졸업자 전원이 토플 45점 이상을 달성하고 국·공립대학 30개 학교는 졸업 요건을 토플 90점 수준으로 설정해 글로벌 인재를 연간 10만명 양성한다는 목표가 거론되고 있다.

엔도 도시야키 교육재생실행본부장은 토플 의무화 등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세계에서 활약하는 인재가 10%가 안 된다면 일본은 매몰된다”고 말했다.

시모무라 하쿠분 문부과학상은 이에 대해 “의욕적인 제안”이라며 환영했다. 그는 지난달 정부 산업경쟁력 회의에서 대학 영어 강의 비율을 30%로 늘리고 해외 유학생을 12만명 목표로 늘리는 등 인재 육성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