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1만 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유기견 보호소가 들어선다. 현재 우리나라의 애완견 수는 약 200만 마리. 연간 버려지는 개의 수는 약 10만 마리다. 하지만 그나마 보호가 이루어지는 시설은 400여곳뿐인데 대부분 영세하다. 시설 유기견 중 절반은 주인을 찾지 못해 안락사를 당한다. 일부는 해외로 입양되기도 한다.
한국반려동물협회 이임찬(43) 대표는 "경기도에 3000평 부지의 폐교를 보호소로 정비 중이며, 3월 중순부터 2000마리를 우선 수용할 계획"이라며 "임대기간 종료를 앞둔 경기도의 한 유기견 보호소에서 400마리를 옮긴 후 전국 각지에서 초과 수용 유기견들을 데려올 것"이라고 7일 밝혔다.
이 보호소는 유기견이 죽을 때까지 안락사시키지 않는 것이 방침이다. 노견(老犬)이나 안락사를 앞둔 강아지를 우선 입소시킨다. 전국 보호소와 지자체, 동물병원 등에 "돌볼 수 없는 아픈 강아지나 안락사를 앞둔 강아지를 보내달라"는 공문을 보내 이곳에 입소시키게 된다. 이 대표는 "올해부터 반려견 등록제가 시행됐지만, 목걸이를 떼버리면 그만이라 유기견 발생을 막는 근본 대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보호소는 이름을 밝히길 거부한 독지가가 기부한 부지에 반려동물협회 회원들의 기부로 운영된다. 1만 마리를 수용할 경우 한 달 예상 운영 비용만 2억원. 협회 정회원 300여명 중 절반가량이 수의사로, 이들의 무료봉사를 통해 의료적 처치도 이루어진다.
보호소는 '동물복지형 공원'으로 조성된다. 이 대표는 "1평도 되지 않는 우리에 있는 환경을 탈피해 공원과 강아지 풀장을 조성하는 등 친환경적으로 설계했다"며 "방문객, 체험학습 등을 유치해 동물보호 의식도 함께 기를 것"이라고 말했다.
보호소 개소와 함께 오는 6월부터 '이동식 소각장'도 시범 운영된다. 지금까지 길거리 동물의 사체는 산업폐기물로 분류돼 쓰레기봉투에 수거했지만, 사체 신고가 들어오면 '소각장 버스'가 출동해 인도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