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이 세계 4위인 러시아가 술과 전쟁을 시작했다. 러시아에서 올해부터 '음료수'로 분류되던 맥주를 주류(酒類)로 규정하는 새 법이 발효되면서 러시아에서 맥주를 사기가 전보다 어려워졌다고 지난 1일 AP통신이 전했다.
새 법에 따르면 앞으로 면적 50㎡ 이상인 음식점·카페·상점 등에서만 맥주를 살 수 있게 된다. 일반 상점에선 오후 11시부터 오전 8시 사이에는 아예 맥주를 살 수 없고, 해변·공원·운동장 같은 공공장소에서 맥주를 마시는 것도 금지된다. 그동안 러시아인들은 '키오스크'라는 길거리 간이 매점에서 맥주를 많이 사 마셨지만 앞으로는 이처럼 거리에서 맥주를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없게 될 전망이다.
앞서 2011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대통령(현 총리)은 음주를 러시아의 '국가적 재앙'으로 규정하며 지나친 음주를 규제하는 정책을 잇따라 내놓았다. 지난해 맥주에 부과하는 세금을 20% 인상한 데 이어 올해와 내년에도 각각 25%, 20%씩 인상하기로 했고 인터넷을 포함한 언론 매체를 통한 주류 광고를 전면 금지했다. 올해부터 보드카 가격도 전보다 36% 오른 0.5L(리터)당 170루블(약 6000원)로 인상됐다.
지난 2011년 세계보건기구(WHO)가 국가별로 성인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을 조사한 결과 러시아는 1인당 15.8L로 나타나 세계 4위(한국은 1인당 14.8L로 세계 13위)를 기록했다.
WHO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기준으로 러시아 남성 사망자 5명 중 1명, 여성 사망자의 6%가 술 때문에 목숨을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