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바람 전도사’로 유명한 황수관(67) 연세대 의대 외래교수가 30일 급성 패혈증(敗血症)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별세했다.
하지만 황 교수의 갑작스런 별세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부 포털에서는 ‘급성 폐혈증’이 실시간 인기 검색어에 오르기도 했다. 일반인에게 다소 생소한 ‘급성 패혈증’이란 무엇인지 TV조선 의학전문기자가 설명한다. 다음은 TV조선의 보도 전문.
Q. 급성패혈증 무엇인가요?
A. 네, 급성이란 건 말 그대로 갑작스럽게 일이 진행되었다는 것인데 패혈증이란 단어가 생소하시죠. 그런데 아무래도 패혈이니까 폐, 허파와 연관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그런데 패혈증에서 패는 폐 가 아니고, '부패', 패했다할 때 패를 의미합니다. 즉, 말 그대로는 피가 실패했다, 피가 제 기능을 가지는 것을 실패했다, 온 몸의 피가 고장나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피가 몸을 돌면서 몸에 영양분도 주고 나쁜 균도 없애고 한시도 쉬지 않고 일을 하는데, 이 피가 다 망가졌다는 거죠.
Q. 아, 그렇군요. 폐와 직접 상관은 없는 거네요? 그럼 왜 이렇게 되는 건가요?
A. 직접적인 이유는 감염 때문입니다. 어떤 이유이든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온 몸으로 퍼지고 전신에 염증이 생긴거죠. 물론 이렇게 전신에 염증이 생긴다고 다 죽는 것은 아닙니다. 몸이 튼튼한 사람은 쉬거나 약을 쓰면서 회복되기도 하죠.
그런데 이 전신 염증이 심해져서 사망하신 황수관 박사님처럼, 다발성 장기 부전이 오는 것이 문제인데요. 다쳐서 어디가 까졌을 때 피부가 너덜너덜 해지잖아요. 이것처럼 온 몸 속에 균이 퍼지면 몸 속에 있는 피부도 너덜너덜해지면서 폐나, 심장, 뇌등 중요한 기관 하나하나가 다 비실비실 해지다가, 결국 기능이 멈추는 겁니다. 이것이 다발성 장기 부전이죠.
아무래도 황수관 박사님 연세가 60세 이상이시기 때문에, 면역력이 젊은 사람처럼 좋지는 못했을 것 같고, 직접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미 폐렴이나 요로감염, 혹은 앞 기사에 나온 것처럼 간의 감염 등 이상 증세로 치료를 받으셨을 것으로 생각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