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에서 중국어를 가르치는 중국계 미국인 엘렌 리우(25)씨는 최근 제러미 린의 '칭크(chink)' 논란을 보고 분개했다. 대만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중국계 미국인으로 뉴욕 닉스에서 큰 활약을 펼치고 있는 린. 그의 약점을 분석한 기사에서 스포츠 전문 채널 ESPN은 홈페이지에 '갑옷의 틈새'라는 뜻의 관용구 'chink in the armor'를 썼다. 사전적으로는 '갈라진 틈'을 뜻하는 '칭크'는 서양 사람들이 동양인을 '찢어진 눈'으로 비하하는 표현이다. 리우씨는 "백인 미국인들은 여전히 자신들은 '순수한 미국인'이고 동양계는 '이주해서 사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린까지도 '칭크'라는 단어에 시달려야 한다는 사실이 매우 화가 난다"고 말했다. ESPN은 '칭크 파문'이 확산하자 담당 기자를 해임했다.
최근 미국에서 가장 떠오르는 스타인 린과 관련한 '칭크' 사건으로 동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감정을 담은 이 단어에 대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보다 앞서 지난 1월에는 뉴욕 파파존스 피자 종업원이 주문서에 한인 여성의 이름 대신 '찢어진 눈을 가진 여성(lady chinky eyes)'을 적어 넣어 한인 사회에 파문이 일었고 지난 11일 애틀랜타에선 스타벅스 종업원이 주문한 음료를 담은 컵에 찢어진 눈을 그려 넣어 한인 사회가 법적 대응까지 모색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반(反)이민자 정서가 세지고 있는 유럽에서도 동양인을 '칭크'라고 비하해 물의를 빚는 일이 잦다. 영국 리즈대 사회학과 이안 로 교수 연구팀의 '영국 내 중국인에 대한 차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을 상대로 한 증오범죄의 상당수에 '몹쓸 칭크, 집으로 돌아가' 등 찢어진 눈과 연관한 언사가 동반됐다. 영국 런던에서 30년 동안 살며 식료품 매장을 운영하는 한 여성은 최근 강도를 당했는데, 이 강도는 그에게 "이 '칭키(chinky)'야. 고향으로 돌아가. 이 땅은 너희 것이 아니야"라고 소리쳤다고 한다. 로 교수가 면담한 한 여학생은 약 2달에 한 번꼴로 찢어진 눈과 관련한 차별적 발언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서양인에 비해 길고 가는 동아시아인의 눈을 빗댄 '칭크'는 중국인이 미국에 대거 이주하기 시작한 20세기 초부터 인종차별적 단어로 쓰였다. 외모적 특성에 중국을 뜻하는 영어 단어 '차이나'와 비슷한 발음이 겹쳐져 흑인을 부르는 '니거(nigger)'처럼 아시아인을 깔보며 부를 때 사용됐다. 미국에서 쓰이는 인종 차별적 단어에는 칭크와 니거 외에 유대인을 비하하는 '카이크(kike·유대인들의 성이 '키〈ky·ki〉'로 많이 끝나는 데서 비롯)', 멕시코인들을 지칭하는 '웨트백(wetback·멕시코인들이 불법으로 강을 건너 미국으로 이주한다는 뜻을 담은 단어)' 등이 있다.
미국 뉴욕의 차이나타운의 중국계 인사 모임인 '차이나타운 파트너십' 웰링턴 첸 대표는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경제난과 중국의 부상이 겹쳐 중국인들이 미국의 일자리를 앗아간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아시아계를 겨냥한 비하 발언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