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6자회담 의장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를 미국에 보내 회담 재개를 독촉 중인 가운데 미국이 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미 국무부의 필립 크롤리(Crowley) 공보담당차관보는 1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앞으로 수주간에 어떤 행동을 보이느냐가 중요하다.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북한의 행동에 의해 좌우될 것"이라고 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구체적으로 북한이 보여야 할 행동으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적인 행동 중단 ▲2005년 비핵화를 명시한 9·19 성명에 따른 약속 이행▲ 천안함 사건에 대한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크롤리 차관보는 특히 "올해 봄까지만 해도 우리가 하려고 했던 일들이 있었으나, 천안함 침몰사건으로 그런 행동을 추구할 수 없게 됐었다"며 "우리는 당시의 시점으로 되돌아갈 용의가 있으나 이는 북한의 행동변화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또 "북한은 천안함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는 데 실패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천안함 문제에 대한 해명이 있어야 함을 명확히 했다.
그는 "북한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우리와 좀 더 건설적으로 대화할 자세를 보인다면, 우리는 북한의 행동을 평가해 본 뒤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크롤리 차관보가 이날 언급한 '3대 조건'은 북한과 중국을 동시에 겨냥한 것이다. 제임스 스타인버그(Steinberg) 국무부 부장관은 3대 조건을 우다웨이 대표에게 전달하며 중국이 북한을 적극적으로 설득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롤리 차관보는 이와 관련, "중국은 중국대로의 생각이 있겠지만, 우리는 우리대로 생각이 있으며 이런 구상들을 다른 나라와 교류하고 또 그들의 생각을 들은 뒤에야 현 상태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적절한 경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다웨이 대표는 이날 스타인버그 부장관과 회담을 마친 뒤 언론 인터뷰에서 "6자회담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현재 상태로는 6자회담 재개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관계 당사국들이 조속한 재개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티븐 보즈워스(Bosworth) 대북정책 특별대표, 성 김(Kim) 북핵특사와도 만나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