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멕시코만에서 침몰한 원유시추시설에서 '하루 원유 유출량이 기존 추정량의 10배인 5만배럴 이상일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초비상이 걸렸다.

미 앨라배마 현지신문 '모바일 프레스-레지스터'는 1일 미 해양대기청(NOAA)의 기밀문서 내용을 인용, "해저 원유를 끌어올리는 수직관에서 원유 유출 지점 2곳을 추가로 확인했다"며 "꼬여 있는 수직관이 더 훼손됐다면 원유 유출량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한자릿수(an order of magnitude) 더 많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밀문서 내용이 사실이라면 해저 원유는 하루 5000배럴이 아닌 5만배럴 넘게 바다로 쏟아져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양이면 멕시코만 연안 생태계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난달 20일 사고 발생 당시 시추시설 사용자인 영국석유회사 BP는 하루 1000배럴의 원유가 유출되고 있다고 했지만, 며칠 만에 5000배럴까지 확대된 것을 시인했다. 하지만 유출량 5만배럴설까지 제기되면서 미국 최악의 기름 유출 사고인 '엑손 발데스호(號)' 사고를 연상시키고 있다. 1989년 엑손 발데스호는 26만배럴의 기름을 유출하면서 1900㎞에 이르는 알래스카 연안을 초토화시켰다. 2007년 우리나라 태안반도에서 유출된 기름량은 7만8000배럴이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오바마 정부 관리들이 'BP가 이번 사태에 대해 오판을 하고 늑장 대응하는 바람에 대재앙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고 비판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BP는 사건 발생 초만 해도 기름띠가 해안에 도달하기 전에 방제작업을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호언했지만 지금까지 별 성과가 없다. '감압 유정'을 뚫어 분출압력을 줄이려는 시도도 2~3개월이 소요되고, 기름을 태우는 작업도 마찬가지다. 현재 해저에 분산제(dispersant·기름을 작은 입자로 분해해 널리 분산시키는 것)를 살포하고 있지만 효과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