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으로 빚은 사람과 동물 모양 인형을 뚜껑에 붙여 장식한 신라시대 토기(土器)들이 1500년 만에 무덤 밖으로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8일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고분이 모여 있는 경북 경주시 쪽샘지구 안 B6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적석목곽분]에서 토우(土偶)장식토기 14점을 확인하고 그 중 12점을 수습해 복원·정리 중"이라고 밝혔다.
5~6세기 신라에서 유행한 토우장식토기는 고배(高杯·굽다리접시)의 뚜껑이나 항아리의 어깨 부위에 사람 또는 동물 모양의 토우를 장식용으로 붙이고 있다. 지금 있는 것은 출토지를 알 수 없는 기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토기도 거의 돌덧널무덤[石槨墓·석곽묘]에서 나왔다.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경우는 1934년 경주 황남동 109호 2곽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에 발견된 토우는 지팡이를 짚고 있는 노인, 가야금으로 보이는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 성기가 강조된 남자, 출산 중인 여자 등 사람 모양과 뱀·자라·새 등 동물 모양이다. 크기는 각각 5㎝ 정도로 고배 꼭지 부분에 남자와 새, 뱀과 자라, 새 2마리, 자라 2마리 등이 대칭을 이루며 붙어 있다.
박종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이제까지 토우장식토기들은 토우가 토기에서 떨어진 채 확인된 것들이 많아서 토우에 대한 미술사적 또는 민속학적 연구만 할 수 있었다"며 "이번 발굴을 계기로 고분 속에 묻혀 있는 토우장식토기의 성격과 피장자의 신분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