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에서 '고체에 열을 가하면 액체가 되는 일이 없이 곧바로 기체로 변하는 현상'을 일러 '승화'라고 하는 까닭은 '昇華'란 우리말 한자어의 속뜻을 알면 이해가 잘 되니….

자는 '해가 떠오르다'(sunris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해 일'(日)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升(되 승)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후에 '올라가다'(ascend) '올리다'(rais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꽃'(a flower)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가지마다 꽃이 만발한 나무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후에 '빛나다'(flowery) '번성하다'(flourish)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되자 그 본뜻을 위해서는 花(꽃 화)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昇華는 '더 높고[昇] 화려(華麗)한 상태로 바뀜'이 속뜻이다. 조조 아들 왈, '용이 하늘로 오르려면 반드시 구름을 타야 하고, 사람이 벼슬길에 나가려면 천거하는 사람을 기다려야 한다'(龍欲昇天須浮雲, 人之仕進待中人 - 曹植).

▶ 다음은 '음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