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李明博) 한나라당 대선후보는 7일 재산 헌납 발표를 하면서 “제 소망은 이웃을 돕고 나라를 발전시키는 일”이라며 “그러기 위해서 먼저 제가 가진 것을 되돌려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남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는 가난한 살림에 고생하면서도 아들을 바르게 키워주신 사랑하는 제 어머니와의 약속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의 측근들은 “이 후보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현하려는 것이다. 다른 의도로 보지 말아 달라”는 설명이었다. 나경원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이 후보가 헌납 뜻을 갖고 있었지만, 자칫 검찰의 ‘BBK 의혹’ 수사를 염두에 둔 행동으로 오해 받을까 공식 발표를 미루다 모든 의혹이 풀린 오늘 발표한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도 이날 “이제 이런 일들이 모두 정리되었기에 홀가분한 마음으로 국민 앞에 고하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후보가 재산 헌납 의사를 밝혀온 것은 1995년부터다. 당시 그는 자서전 ‘신화는 없다’에서 서울 논현동 자택, 양재동 땅 등 자신의 재산형성 과정을 소개하며 “아내와 나는 우리 재산을 아이들에게 물려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전날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도 이 후보는 “개인 재산을 공익적으로 쓸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이미 오래 전부터 우리 부부의 합의사항도 있고, 아이들도 우리 생각을 지지하고 있다. (대선) 당락에 상관없이 계획대로 갈 것”이라고 했었다. 이 후보는 서울시장 재직 시에도 자신의 월급을 수령하지 않고 전액을 소방대원과 환경미화원들을 돕는 데 사용한 바 있다.
이 후보가 헌납할 재산은 자신의 서울 논현동 자택을 제외하면 300억원 정도 된다. 이 후보는 이날 구체적인 헌납 방법은 “주위의 좋은 분들과 의논해서 결정하겠다”며 밝히지 않았지만, 대통령선거 이후 공익재단을 설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측근은 “이 후보가 어린 시절 지독하게 가난했고, 고학을 경험했기 때문에 장학재단을 세워 불우한 어린이나 청소년의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하는 방식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대선 전엔 어렵고, 선거가 끝난 뒤 당락에 상관없이 지인들과 구체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이 후보 재산헌납 선언의 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해 “기부 대상자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은 채 국가나 사회에 재산을 헌납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은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