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라는 말은 상품의 매매교환, 문화와 정보의 교환에서 비롯됐다. 전시회나 설명회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세계박람회기구(BIE) 공인 엑스포는 가능한 한 상업성을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BIE 협약 1조에는 ‘엑스포란 인류의 노력으로 성취된 발전 모습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대중의 계몽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전시’라고 표현돼 있다.
엑스포는 영국의 알바르공에 의해 창시됐다.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개최국의 권위와 업적을 과시하는 세계 3대 행사로 불린다. 첫 엑스포는 1851년 영국 런던에서 25개 국이 차마한 가운데 열렸다.
이후 파리(1867년), 필라델피아(1876년), 샌프란시스코(1915년), 오사카(1970년), 벤쿠버(1986년) 등 세계 주요도시에서 개최됐다. 엑스포는 주최국 또는 주최 도시의 역사적 의미를 기념하기 위해 개최되는 경우가 많았다.
1889년 파리 엑스포는 프랑스 혁명 100주년을, 1988년 호주 브리스베인 엑스포는 유럽인 호주 정착 200주년을, 1992년 세비야 엑스포는 콜럼버스의 미국대륙 발견 500주년을, 1998년 리스본 엑스포는 바스코다가마 인도항로 발견 400주년을 각각 기념해 개최됐다.
최근에는 엑스포와 성과와 중요성을 인식한 많은 국가가 BIE에 개최신청을 하고 있어 개최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BIE 공인 엑스포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로 나눠진다. 5년마다 열리는 등록엑스포는 광범위한 주제와 전문적 주제를 선택할 수 있고, 최장 6개월까지 개최한다. 박람회장 면적에 제한이 없다. 인정엑스포는 등록엑스포 사이에 1차례 개최하는 것으로 명확한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최장 3개월까지 개최 가능하다. 박람회장 면적은 25㏊ 미만으로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