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남미 페루 나스카 지역에서 303개의 지상화를 새롭게 확인했다고 일본의 야마가타대학 연구팀이 지난 9월 24일 발표했습니다. 하늘에서만 그 형체를 볼 수 있는 페루 나스카 지상화(geoglyph)는 1927년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 기록된 이후 거의 백 년에 걸쳐 약 43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야마가타 연구팀은 단 6개월 만에 303개의 지상화를 발견한 것입니다. 그 비결은 바로 AI(인공지능)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이전에 발견된 것보다 더 오래되고, 더 작고, 희미한 새로운 지상화를 식별하기 위해 사막의 위성 이미지에서 희미한 선을 발견하도록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이 사람보다 20배나 더 빠르게 윤곽선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연구팀은 AI로 다양한 그림을 식별한 후, 스캔 한 위치로 이동하여 그림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연구팀은 2600시간 이상 직접 현장을 조사하고, 드론 사진을 찍고, AI로 분석한 후 다신 현장을 찾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303개의 새로운 지상화에는 인간과 유사한 인물, 가축, 물고기, 고양이, 새, 의식 장면, 동물과 상호작용하는 사람, 특히 무기를 휘두르는 범고래가 그려져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합니다.
연구진이 ‘머리 장식을 한 인간’라고 이름 붙인 가장 인상적인 이미지 중 하나는 고대 지도자, 공연자 또는 영적인 주술사로 보이는 인물이 장식용 머리 장식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번 연구에서 보듯 앞으로 수천 년이 지나 희미해진 유적을 발굴하는 고고학 분야에서 AI가 그 힘을 발휘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