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Note
전체기사
61건
랄프 오사 세계무역기구(WTO)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7일 인터뷰 내내 “자유 무역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한국’”이라고도 여러 차례 얘기했습니다. 한국은 자유 무역이라는 거대한 흐름 위에 성공적으로 올라탄 덕분에 가난에서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오사 수석 이...
2025.05.22(목)
전략 기술에선 만학도였던 중국이 전략 자원 분야에선 확실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첨단 제조업에 쓰이는 주요 광물의 채굴과 제련, 정제 산업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미국이 관리하는 ‘핵심 광물’ 50종 가운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거나 정제국인 광물은 총 ...
2025.05.15(목)
달러의 역사를 살피다 보면 기축통화국의 ‘삶’이란 여간 고달픈 게 아닙니다. 다른 나라에선 “20센트도 안 되는 돈으로 100달러짜리를 찍어내는 특혜를 누리고 있다”고 비판하지만, 기축통화국을 유지하려면 경상수지 적자라는 태생적 독배(毒杯)를 들어야만 하기 때문이죠. 경상수지 적자는 결...
2025.05.08(목)
지난달 22일 중국 전기차 공장을 취재하러 찾아간 안후이성에서 유명 관광지인 ‘육척 골목(六尺巷)’을 거닐었습니다. 청나라 시기 담장을 놓고 다투던 장씨와 오씨, 두 집안이 삼척씩 물러나 조성된 골목길로 ‘양보’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당시 장씨 집안은 중앙 관직에 있던 장영(당시 외교...
2025.05.01(목)
대중교통 및 전기·가스 요금 인상, 연금 개혁, 공무원 인원 감축까지…. 한국에서도 늘 화두였지만 수년 이상 해결이 쉽지 않았던 논쟁거리입니다. 이 어려운 걸 집권 1년 만에 전부 해낸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도 전임 정부가 떠넘긴 연 200% 넘는 인플레이션과 124조원가량 늘어난 부채...
2025.04.24(목)
손상된 장기를 완벽한 ‘새것’으로 갈 수 있다면 하시겠습니까. 장기 기증을 애타게 기다리는 환자에겐 이보다 반가운 소식이 없을 겁니다. 유전학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나카우치 히로미쓰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는 ‘보디오이드(Bodyoid)’가 있다면 이렇게 공상과학(SF) 영화에 나올 ...
2025.04.17(목)
“저는 로봇세를 걷거나 기본 소득을 주자는 생각에 대해선 매우 회의적입니다.” 고든 핸슨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는 최근 WEEKLY BIZ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과 로봇 같은 기술 발달로 기존 산업의 일자리가 사라질 때 로봇세나 기본 소득 같은 정책이 ‘대응책’이 되기 어렵다고 했...
2025.04.10(목)
전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이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물 부족은 식수나 농·축산업뿐만 아니라 첨단 제조업까지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망에 먹구름을 드리웁니다. 특히 최근 가장 각광받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이 데이터센터 냉각 등에 물을 엄청나게 사용해 물 부족을 심화시킨다고 합니다. 인...
2025.04.03(목)
글로벌 경제·안보 전문가들은 100년 전 역사로의 회귀를 걱정합니다. 당시 미국의 고관세 정책(스무트-홀리 관세법)으로 촉발된 무역 전쟁은 대공황의 수렁에서 빠져나오려는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불황을 자양분 삼아 성장한 나치와 파시즘 세력은 2차 세계 대전이라는 재앙의 뿌리였습...
2025.03.27(목)
캐나다의 ‘오픈 로봇 윤리 연구소’는 2015년에 미국, 캐나다, 한국 등 총 54국 1000여 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자율 살상 무기’에 대한 설문을 했습니다. 당시 응답자의 71%가 “자율 살상 무기보다 원격 조종 무기가 차라리 낫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인공지능(AI)에 생사여탈권...
2025.03.20(목)
- 1
- 2
- 3
- 4
- 5
- 6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