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Note

전체기사
69건
원화 스테이블코인, 서두르는 이유가 있나요?
원화를 디지털 세상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화폐(코인)로 만들자는 이른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고, 미국에서 이와 관련한 법제화가 이뤄져 관심이 더 높아졌습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지지하는 긴 보고서를 쓴 김용범 전...
2025.07.24(목)
|김신영 기자
"K팝의 '코리아네스크' 지키지 않으면 하락기 시작될 것"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K팝 데몬 헌터스’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골든’이 지난 14일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 ‘핫 100’ 6위에 올랐습니다. 금빛 질주가 이어지자 넷플릭스는 골든을 내년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 후보로 출품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자본과 시스템으...
2025.07.17(목)
|구동완 기자
특허 출원 세계 1위... "화웨이는 더는 '팔로어'가 아니다"
베이징 특파원을 하던 2003년 무렵입니다. 잘나가는 중국 기업은 국유 기업은 물론 민영 기업도 내수형이 주류이던 때였습니다. 화웨이는 하지만 매출의 절반가량을 해외에서 올리는 글로벌 기업이라는 점이 특이해 ‘화웨이 진상(眞相)’이라는 이름의 현지 책도 탐독할 만큼 탐구했던 기억이 새롭...
2025.07.10(목)
|오광진 이코노미조선 편집장
"듣도 보도 못한 AI기업이 '깜짝 스타'로 나와야 코스피 5000 갈 것"
2022년 대학생 넷이 공동 창업한 미국의 AI(인공지능) 코딩 스타트업 ‘커서’가 최근 기업 가치 약 100억달러 평가를 받아 화제가 됐습니다. 스타트업은 보통 기업 가치 10억달러면 ‘유니콘’, 100억달러 정도면 ‘데카콘’이라 부릅니다. 3년 만에 유니콘이 되기도 쉽지 않은데 데카...
2025.07.03(목)
|김신영 기자
K팝에 매료돼 한국 찾는 이민자..."우리는 다른 해법 내놓자"
“제 이름은 이균입니다.” 지난해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흑백요리사’ 마지막 화. 미국 이민자 출신 셰프 에드워드 리가 한국 이름을 공개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가득 녹인 레시피를 선보였습니다. 다음 날 포털에는 “에드워드 리의 인생을 존경한다”는 반응이 쏟아졌지요. 그러나 전 세계 3억 이...
2025.06.26(목)
|김보경 기자
비만 치료제가 미용용? "약을 약으로 봐야 독이 되지 않는다"
약사인 친구와 비만 치료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는 “위고비를 받아가는 사람 중에는 이를 몸매 관리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며 “비만 치료제는 시급히 체중을 줄여야 하는 사람이 써야 할 약품”이라고 했습니다. 의사와 약사의 투약...
2025.06.19(목)
|홍준기 기자
다시 밀착하는 영국과 EU,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영국은 2016년 6월 국민투표를 거쳐 유럽연합(EU)을 떠났습니다. 당시 영국인들 사이에선 EU 회원국들의 잇따른 경제 위기, 과도한 EU 출신 이민자 유입 등이 영국 경제의 발목을 잡는다는 인식이 팽배했습니다. 브렉시트(Brexit)는 그런 족쇄를 끊고 ‘독립’하겠다는 결단으로 여겨...
2025.06.12(목)
|채제우 기자
닛산의 몰락과 야마구치 음모론
2018년 11월 일본 검찰이 닛산자동차의 카를로스 곤 회장을 배임 등 혐의로 체포했을 당시 ‘야마구치의 아베가 칼을 들었다’는 음모론이 나왔습니다.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닛산자동차를 프랑스 르노에서 되찾고자 곤 회장을 겨냥했다는 겁니다. 음모론의 진위는 알 길 없지만 닛산자동차는 ...
2025.05.29(목)
|도쿄=성호철 특파원
"자유 무역이 뭐가 좋으냐고? 한국이 바로 그 증거"
랄프 오사 세계무역기구(WTO)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7일 인터뷰 내내 “자유 무역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한국’”이라고도 여러 차례 얘기했습니다. 한국은 자유 무역이라는 거대한 흐름 위에 성공적으로 올라탄 덕분에 가난에서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오사 수석 이...
2025.05.22(목)
|홍준기 기자
광물이 무기화된 시대...국가가 과학 기술에 투자해야 할 이유
전략 기술에선 만학도였던 중국이 전략 자원 분야에선 확실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첨단 제조업에 쓰이는 주요 광물의 채굴과 제련, 정제 산업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미국이 관리하는 ‘핵심 광물’ 50종 가운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거나 정제국인 광물은 총 ...
2025.05.15(목)
|이현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1
  • 2
  • 3
  • 4
  • 5
  • 6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