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증여

전체기사
77건
'증여 주식 반환' 콜마 父子 사태… 법원, 일단 아버지 손 들어줘
콜마그룹 창업주인 윤동한(78) 한국콜마 회장이 장남 윤상현(51) 콜마홀딩스 대표이사 부회장에게 증여한 주식을 임의로 처분해선 안 된다는 법원 결정이 나왔다. 3일 법조계와 한국콜마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윤동한 회장이 아들 윤상현 부회장을 상대로 낸 ‘주식 처분 금지’ 가처분 신청...
2025.07.03(목)
|김은경 기자
11조 넘는 '숨은 보험금' 찾아가세요
금융 당국과 보험 업계는 올해 11조원이 넘는 숨은 보험금을 고객에게 되돌려줄 방침이라고 30일 밝혔다. 숨은 보험금이란 보험금 지급 금액이 확정됐지만 청구되지 않은 보험금을 말한다. 주로 소비자가 보험 계약 만기가 도래해도 찾아가지 않거나, 중도·휴면 보험금이나 사업장 폐업·도산 후 ...
2025.07.01(화)
|곽창렬 기자
세계 3위 콜마, 남매 분쟁이 父子 싸움으로
창업주가 아들에게 경영권을 넘겨준 뒤 수년이 지나 증여한 주식을 돌려달라는 이례적인 ‘경영권 분쟁’이 벌어졌다. 코스맥스, 인터코스(이탈리아)에 이어 세계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업계 3위인 콜마그룹 오너가에서 벌어진 일이다. 콜마그룹 창업주인 윤동한(78) 한국콜마 회장은 ...
2025.06.19(목)
|석남준 기자, 김윤주 기자
생활비 충당하려... 고령자들, 20년 이상 보유 아파트 팔기 시작했다
30년 가까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에 살던 최모(68)씨는 최근 집을 팔았다. 매도 대금으로 28억원 정도의 현금을 마련한 최씨는 송파구의 20평형대 아파트를 17억원에 사서 이사했다. 남편과 함께 국민연금을 매달 170만원씩 받지만, 이것만으로는 노후 생활이 어려워 아파트를 ...
2025.06.19(목)
|황규락 기자, 이태동 기자
"공익 목적의 고액 기부자가 '세금폭탄' 맞지 않도록 제도 개선해야"
“고액 기부자에게 엄청난 세금을 물리는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고, 일부 공익법인의 제도 악용 가능성은 입구를 막을 게 아니라, 출구에서 적발해 엄정하게 조치해야 합니다.” 김용태 사단법인 옳음 이사장은 고액 기부 활성화를 위한 세법 개정 방향을 이렇게 설명했다. 기부하기로 결심한 사람들...
2025.06.19(목)
|정진영 객원기자
잠잠하던 중랑구서 200건·성북구 202건… 쏟아진 아파트 증여, 왜?
월간 아파트 ‘증여’ 건수 200건, 전체 아파트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율은 33.7%로 서울 25구 중 압도적 1위. 지난 3월 이후 대규모 아파트 증여가 이뤄지고 있는 서울 중랑구 얘기다. 3~4월 합산한 중랑구의 아파트 증여 비율은 서울 전역 비율의 2배를 넘는다. 최근 수년...
2025.06.12(목)
|이태동 기자
아파트 증여도 '고령화'… 70代 주고, 50代 받는다
국내에서 집은 주로 70대부터 증여하고 50대가 이를 물려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나 빌라 등 부동산을 증여하는 사람 중 70대 비율이 15년 사이 두 배 수준으로 상승한 것이다. 고정 수입이 없는 은퇴 세대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하면서 증여 시기가 늦어졌고, 이를 받는 자녀들의 연령...
2025.06.05(목)
|황규락 기자
재산 받고 돌변하는 자식들... 이런 불효 막는 '계약서' 제대로 쓰는 법
재산만 증여받고 ‘먹튀’하는 불효 자식을 방지하기 위한 ‘효도 계약서’ 작성이 유행한 적이 있다. 생전에 재산을 자식에게 주면서, 이런저런 효도를 하지 않으면 준 것을 무효로 하겠다고 하는 계약서를 쓰는 것이다. 사전 증여로 상속보다 세금은 줄이고, 자식들 생활도 도와주면서, 자식이 재...
2025.06.02(월)
|김은정 기자
아파트 일찍 줬더니 돌변한 아들, 효도계약서도 소용 없었다
한때 재산만 증여받고 ‘먹튀’하는 불효 자식을 방지하기 위한 ‘효도 계약서’ 작성이 유행했던 적이 있다. 생전에 재산을 자식에게 주면서, 이런저런 효도를 하지 않으면 줬던 것을 무효로 하겠다고 하는 계약서를 쓰는 것이다. 사전 증여로 상속보다 세금은 줄이고, 자식들 생활도 도와주면서, ...
2025.05.27(화)
|김은정 기자
154조원 '치매 머니'로 안 묶이려면… 유언 대용 신탁 활용하라
현행법상 개인이 치매 판정을 받아 의사 능력을 상실하면, 누구도 그 환자의 재산을 건드릴 수 없다. 자식이어도 안 된다. 사후 상속이 이뤄질 때까지 이 돈은 계좌에 묶인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치매 인구는 124만명이다. 이들이 갖고 있는 자산, 즉 ‘치매...
2025.05.26(월)
|곽창렬 기자
  • 1
  • 2
  • 3
  • 4
  • 5
  • 6
  • 7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