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4일 전남 고흥만 드론센터 인근에서 실증 비행하는 5인승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고흥군 제공

우주 산업 중심지 전남 고흥군은 정부가 2031년까지 1조 6000억원을 투입, 고흥에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한다고 28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국가산단) 152만㎡(46만평)를 조성하고, 민간 발사장과 연소 시험장, 발사체기술 사업화 센터 등을 만든다. 민간 발사장은 2026년 말 1차 준공, 2027년부터 민간 우주선이 발사된다. 발사체기술 사업화 센터는 2027년 준공이 목표다. 우주발사체 국가산단은 2030년 완성될 전망이다. 공영민 고흥군수는 “국가산단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한 50여 기업이 입주해 2만개 이상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된다”며 “4조 9000억원 정도 생산 유발 효과가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인구 증가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흥군에 따르면, 국가산단 기업 유치는 순조롭다. 지난해 12월 현대로템이 합류를 결정했고, 앞서 지난해 3월 발사체 분야 핵심 앵커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이노스페이스 등이 입주를 협약했다. 발사체 소재·부품·장비 기업은 모두 11개에 이른다. 특히 이노스페이스는 발사체 엔진 연소 시험을 위한 종합시험장을 구축 중이다. 첫 상업 발사를 위한 단(段) 인증 시험을 고흥 종합시험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80여 발사체 관련 기업이 우주발사체 국가산단에 입주 의향을 보이고 있다. 군은 국가산단 주변 주거·생활 여건 개선에도 나서고 있다.

드론 산업 육성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4일 고흥만 드론센터 인근에서 국내 최초 상용화 수준 5인승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실증 비행이 있었다. 대한항공과 현대자동차, SK텔레콤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2023년 8월부터 실증 비행이 이뤄지고 있다. 드론 관련 25개 업체가 입주하는 전국 최초 ‘드론 산업단지’가 지난해 6월 착공, 내년 하반기 준공된다. 드론 제조는 물론 드론 관련 정보통신 업체 등이 입주한다. 드론 생산부터 시험 평가, 인증까지 고흥에서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전기 추진 시스템 평가 기반과 비행 안전 성능 시스템 인프라도 구축한다.

고흥군은 교통 인프라 개선에 나서고 있다. 광주~고흥 간 고속도로는 현재 국토부에서 용역을 추진 중이다. 경전선 벌교역에서 지선을 연결해 고속 전철 고흥역과 녹동역을 건설할 계획이다. 우주발사체 산업 클러스터 연계 도로를 대폭 확장할 방침이다. 현재 고흥읍~나로우주센터 간 2차로는 굴곡이 심해 대형 장비나 발사체 구조물 등을 운반하기 어렵다. 2026년 말 완공되는 민간 발사장 수요를 감안해 4차로 확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영민 군수는 “입주 기업 종사자의 정주 여건 개선은 물론 국가산단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로망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