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의 경제적 효과가 워낙 크기 때문에 결코 포기할 수 없고, 최선을 다할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엑스포 유치에 대해 “최선을 다해 뛰면 반전이 가능하다. 열심히 하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가서 양자회담을 하면서 (부산 엑스포 유치)지지를 호소할 때 ‘귀국의 상품을 전 세계에 보여 주는 데 있어 대한민국만큼 확실하게 광고를 해 줄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경쟁국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본인이 직접 뛴 사례를 얘기하고 엑스포 유치 의지를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한국을 방문한 알리 봉고(Ali Bongo) 가봉 공화국 대통령과 가진 정상회담에서 “우리 정부는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항해’라는 주제로’2030 부산월드엑스포’개최를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가봉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다음 달 중순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도 참석, 각국 정상들과 릴레이식 양자 회담을 가지면서 ‘부산 엑스포 지지’ 교섭을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김윤일 미래정책비서관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와 인식은 확고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유치 총력체제로 전환, 동분서주 중이다. 그 전 재단법인 형태의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와 ‘정부 유치지원위원회’ 체제를 지난 7월 국무총리 산하 ‘유치위원회’와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체제로 바꾸었다. 이후 재외 공관 등을 통해 유치경쟁국 동향을 파악하고 BIE 회원국 지지성향을 분석, 중점 교섭국가를 선정한 뒤 집중 교섭에 들어갔다.
유치위원회는 이를 위해 최근 유치사절단을 3명에서 유명희·여한구 전 통상교섭본부장, 최경림 G20 국제협력대사, 권용우 국제박람회기구(BIE) 협력대사 등 8명으로 늘렸다. 유치위원회 윤상직 사무총장은 “각 BIE 회원국별 상황·수요 등 파악을 통한 맞춤형 대외교섭 전략을 짜고 실행하기 위해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을 유치사절단으로 위촉했다”고 말했다.
또 정부와 기업, 공공기관 등이 하나의 팀(Korea One Team)을 이뤄 일사분란하게 전방위 득표전을 전개 중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달 28일 서울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단독 면담을 하면서 ‘2030년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 지지를 요청했고,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도 지난 15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알프레도 파스쿠알 산업부 장관을 만나 유치 지지를 당부했다. 민간유치위원장을 맡은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를 비롯, 현대차·삼성전자·LG전자 등은 그룹 내 ‘부산엑스포 유치지원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 또 주요 대기업들은 삼성 31개, SK 24개, 현대차 20개, LG 10개, 포스코 7개 등 전담 국가를 정해 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와 SK그룹, 동원산업 등은 지난 7월 피지 수바에서 열린 ‘태평양 도서국 포럼(PIF) 정상회의’에 정부 특사단 일원으로 참석, 11개 BIE 회원국을 상대로 ‘부산 엑스포 유치’ 지지를 요청했다. 현대차는 지난 6월 프랑스 파리에서의 유치 후보국 2차 경쟁 프레젠테이션 때 부산엑스포 로고를 넣은 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이 현지 거리를 돌면서 홍보하도록 했고 LG전자는 올해 초부터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영국 런던 피카딜리 광장 등 세계 유명 도시 랜드마크에 있는 회사 전광판에 부산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엑스포 유치를 알리는 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국회도 나섰다. 서병수(부산진갑) 의원 등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꾸려진 대통령 특사단은 20~28일 타지키스탄·아제르바이잔·조지아 등 중앙아시아 3개국을 찾아 부산 엑스포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서 의원은 국회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이다. 부산의 안병길(서·동구) 의원은 19~26일 파키스탄을 방문, 이 나라 국회 등을 상대로 부산 엑스포 지지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 위원장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위한 범정부적 활동이 본격화하고 국민들의 관심과 유치 열기가 높아지고 있는데 맞춰 국회도 해외 의회 교섭, 특사단 할동 등을 통해 부산 엑스포 성사에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