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었을 땐 두 다리가 곧고 튼튼했는데, 나이가 들면서 무릎이 안쪽으로 휘는 이들이 많다.
‘O(오)자 다리’라고 불리는 다리 변형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좌식 생활을 주로 하는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 흔한 질환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중년 이상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휜 다리는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뿐더러 노년기 삶의 질(質)을 떨어뜨리는 ‘퇴행성 관절염’의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리가 휘고 무릎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 통증은 극심해진다.
연골이 거의 닳아 뼈가 서로 부딪히는 관절염 말기에는 무릎 관절을 교체하는 ‘인공 관절 수술’을 받아야 한다.
◇관절염 일으키는 ‘O자 다리’
O자 다리는 허벅지 뼈부터 무릎, 정강이뼈까지 이어지는 뼈의 정렬이 정상 각도에서 벗어나며 안쪽으로 다리가 휘어진 상태를 말한다. 안짱걸음, 양반다리, 쪼그려앉기 등 잘못된 습관과 자세로 인해 몸의 균형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시작된다.
정형외과 전문의인 서동현 부평힘찬병원 병원장은 “관절염으로 인한 휜 다리를 방치면 통증이 점점 심해진다”고 설명한다. O자 변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관절염 중기에는 ‘교정절골술’로 변형을 교정하고 다리 축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 연골 손상과 관절염 진행을 늦출 수 있다. 교정절골술은 환자 관절은 보존하면서 종아리뼈 일부를 절개해 뼈의 세로축을 반듯하게 교정하는 수술이다.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하지만 관절염이 말기로 진행돼 통증으로 걷기는 물론 일상생활조차 어렵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받는 게 좋다.
◇조직 손상과 출혈 최소화하는 수술로봇 ‘마코’
로봇 인공관절 수술은 다리 축을 맞출 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수술이다. 힘찬병원은 로봇 인공관절 수술에 수술로봇 '마코 스마트로보틱스(이하 ‘마코’)'를 활용한다. 마코는 무릎 전치환술(全置換術·무릎 관절 전체를 바꾸는 수술) 및 부분치환술, 고관절 전치환술에 대해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인공관절수술 로봇이다.
마코를 이용한 인공관절 수술 과정은 이렇다. 시술 전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환자의 무릎 구조와 상태를 확인한 다음 3차원(3D)으로 최소한의 절삭 범위를 측정한다. 이어 인공관절의 삽입 위치와 몸의 균형 등을 고려해 사전 수술 계획을 세운다. 수술 과정에서 확인된 환부 상태는 실시간으로 로봇 시스템에 입력된다. 숙련된 의료진이 로봇팔을 잡고 수술을 집도해 필요한 범위만을 깎는다. 마코 로봇 인공관절 수술의 장점은 최소한의 범위만 정확하게 잘라내 조직 손상과 출혈을 줄인다는 것이다. 의사가 로봇팔을 이용해 수술할 때, 계획된 범위를 벗어나려고 하면 로봇팔의 움직임이 멈춘다. 기계가 사전에 입력된 수술 범위를 인식하고 작동을 중단하는 것이다. 이 같은 안전장치로 꼭 필요한 곳 외에 다른 부위의 손상을 방지한다.
왕배건 부평힘찬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일반 인공관절 수술의 경우 허벅지 뼈에 30~50㎝ 정도 길게 구멍을 내 기구를 고정해 다리 축을 맞추는 과정을 거친다”며 “마코 수술의 경우 로봇프로그램을 이용해 다리 축을 계산하기 때문에 이 같은 과정이 필요 없다. 뼈에 구멍을 뚫어 생기는 출혈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2018년 국제 슬관절 학술지(The Journal of Knee Surgery)에 게재된 ‘로봇 인공관절수술을 이용한 중증 기형 교정’ 논문에 따르면, 무릎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휜 환자 307명을 대상으로 로봇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했을 때 모두 무릎 중심 축이 바르게 교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힘찬병원은 국내 인공관절수술 건수의 약 7~8%에 해당하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관절 전문 병원인 만큼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대거 포진해있다.
심현우 한국스트라이커 대표는 “로봇 인공관절 수술은 로봇이 수술을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로봇의 도움을 받아 수술을 집도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의사의 숙련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마코는 전 세계 26개국에서 약 30만 건 이상의 수술에 쓰였다”며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15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될 정도로 의료 현장에서 효과를 인정받는 수술 시스템”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