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개발자들이 '어댑티브 프리퀀시' 기술이 적용된 패널의 주사율 변화를 테스트 기기로 점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전력 사용을 최대 22% 줄일 수 있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기술을 선보였다. 상대적으로 전기 소모가 많은 5G(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사용 비중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획기적으로 전력 사용량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2일 “기존 스마트폰 대비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전력을 최대 22%까지 낮출 수 있는 저(低)전력 OLED 기술인 ‘어댑티브 프리퀀시’의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어댑티브 프리퀀시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주사율(1초당 화면에 보여지는 정지된 이미지의 개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이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연출할 수 있는데 그만큼 전력 소모가 커진다.

이 때문에 삼성디스플레이는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모바일 게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120Hz(헤르츠)의 주사율을 지원하도록 하는 등 스마트폰 기능마다 주사율을 다르게 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영화는 60Hz, 인터넷 등 일반 텍스트 확인·입력은 30 Hz로 설정해 스마트폰 전력 소모를 줄인 것이다. 특히 사진·SNS 등 정지된 이미지를 볼 때는 가장 낮은 10Hz의 주사율을 적용해 최대 60%까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공개한 ‘갤럭시노트20 울트라’에 이 기술을 처음 적용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는 사용 기능에 관계없이 동일한 주사율이 적용돼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했지만 어댑티브 프리퀀시 기술로 이런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IT제품에 이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