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피해 보고서 발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화되면서 유원시설 매출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는 지난달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산하 관광·서비스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유원시설 피해 현황'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유원시설은 에버랜드, 롯데월드, 이월드와 같은 대형 종합 유원시설부터 테마파크, 키즈카페, 캠핑장 등 중·소규모 시설까지 포함한다. 국내 유원시설을 운영 업체는 총 2000∼3000곳으로, 코로나19 이후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요 워터파크 5곳의 지난 6월 15∼21일 1주간 입장객은 1만5097명으로, 작년 동기(10만2650명)보다 85.3% 급감했다. 또 주요 유원시설 업체 5곳의 올해 1월 20일∼6월 14일 매출액은 1161억원으로, 작년 동기(2916억원)보다 60.2% 감소했다.
협회는 이들 업체의 시장 점유율을 토대로 같은 기간 국내 유원시설 업종의 매출 감소 규모를 5014억원으로 추산했다.
유원시설 업종의 경영이 악화함에 따라 업계 종사자의 고용 위기도 심화하고 있다.
키즈카페와 같은 소규모 유원시설을 제외한 종합·일반 유원시설 367곳 가운데, 코로나19 사태로 휴업 조치를 한 곳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108곳(29.4%)에 달했다. 휴업을 한 업체의 평균 휴업 일수도 74.4일이나 됐다.
2018년 기준으로 유원시설 업종의 종사자는 2만6189명으로,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만2397명이 임시·일용직 노동자였다.
협회는 보고서에서 유원시설 업종을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지정되면 고용 유지를 위한 정부의 특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협회는 "코로나19 사태로 일부 유원시설은 입장객보다 직원이 많은 상황"이라며 "고용 유지가 한계 상황에 처한 만큼, 특별고용지원 업종 지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