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기자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일 “북한의 대화 복귀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전방위적으로 계속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는 앞으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한반도 상황 관리에 중점을 두겠다”고 했다. 그는 “북한은 한반도 정세를 악화시키는 추가 조치는 일단 멈춘 상태”라며 “한반도 상황 전개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굳건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남북·북미 간 대화 모멘텀을 이어나가기 위한 노력을 집중해 나가고자 한다”고 했다.

강 장관은 또 “한·미간 국무부, 외교부 등 다양한 레벨에서 긴밀히 소통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미국 측은 언제든지 북미대화를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혀왔고 북미대화가 재개된다면 유연한 입장으로 대화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확인한 상황”이라고 했다.

강 장관은 “이번 달 고위급 인사의 방한을 추진하고 있다”고도 했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의 방한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비건 장관은 오는 7일 방한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도 이날 “미북 대화가 조속히 재개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에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입장 변화는 없다”면서 “(미북 대화) 가능성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겠다”고 했다. 미북 정상회담 관련 정부가 북측에 의사를 전달한 것이 있냐는 질문에는 “현재 알고 있는 바는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