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자초하고 나선 이들이 있다. 통상 1년 이상 걸리는 백신 개발을 앞당기기 위해 자신의 몸을 시험 대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나선 사람들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2일(현지 시각) '수백 명의 자원자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스스로 감염되려고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코로나 백신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논란이 많은 '챌린지 시험(human challenge)'을 지지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의료 시민단체인 '하루빨리(1Day Sooner)'는 코로나 백신의 챌린지 임상시험에 자원한 사람이 1500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 단체 공동 설립자인 조시 모리슨은 "코로나 백신을 표준 임상 시험보다 훨씬 빨리 개발할 수 있는 인간 챌린지 시험을 지지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고 밝혔다.
표준적인 임상시험은 수천 명에게 백신과 가짜 약을 접종한다. 이들은 자신이 어떤 약을 접종받은지 모른다. 나중에 이들이 일상생활을 하다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어떤지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곧바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으면 당장 백신이 효과가 있는지 알 방법이 없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이 코로나 백신이 시장에 나오려면 빨라도 1년에서 1년 반 이상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 챌린지 시험은 '통제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시험 대상자들을 감염인자에 노출시키는 유효성 시험'이다. 소규모 인원이 백신을 접종받고 일부러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도록 해서 면역력이 있는지 알아보는 방법이다. 목숨을 걸어야 한다는 얘기다.
모리슨은 “챌린지 시험 자원자들은 젊고 도시에 살고 코로나 대유행에 대항해 건설적인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다”며 “자원자들은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백신 개발 가속화의 혜택이 워낙 커 충분히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챌린지 시험은 처음이 아니다. 앞서 인플루엔자(독감)와 말라리아 백신 개발에서도 이뤄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