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을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리고 재혼 승인을 요구합니다."

이 한 문장에서 시작된 웹소설이 40억원 매출을 올렸다. 지난달 31일 완결된 웹소설 '재혼황후'는 누적 다운로드 7000만회를 기록한 화제작이다. 웹소설·웹툰 플랫폼인 '네이버 시리즈' 광고에서 배우 수애가 '재혼황후'의 한 장면을 연기하면서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기도 했다.

'재혼황후'는 노예와 사랑에 빠진 황제가 이혼을 요구하자, 옆 나라 황제와 재혼을 선언하는 당찬 황후의 이야기. 불륜·막장 드라마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황제의 사랑을 차지하려 싸우기보다는 자신의 길을 개척하는 진취적 여성 캐릭터가 인기 요인이다. 완결 후 이메일로 만난 작가 '알파타르트'(필명)는 "대개의 드라마에서 정략결혼을 한 차갑고 무뚝뚝한 황후는 보통 악역으로 등장해 주인공한테 밀려나지 않나"라면서 "황후는 재혼하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을 뒤집어보고 싶었다"고 했다.

'알파타르트'는 이름과 나이, 얼굴을 밝히기를 꺼렸고 성별이 여자라고만 했다. 학생 때부터 꾸준히 여러 장르의 글을 써왔다고 한다. "무명 시절이 길어서 작품 외적으로 힘든 부분이 많았어요. 주위 분들이 '글만 써서 어떻게 먹고사느냐' '취업부터 하고 남는 시간에 글을 써야지, 순서가 틀렸다' 그런 얘기들을 많이 했거든요."

'재혼황후'는 로맨스 판타지물로 가상의 제국인 '동대제국'과 황후, 시녀, 하녀들이 등장해 서양 궁중을 떠오르게 한다. 장면 묘사보다는 대화체 위주로 쉽게 읽히지만, 논란도 많았다. 한정된 단어 구사나 문장력, 빈번한 오탈자로 팬들에게도 비판을 받았다. 문장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느냐는 질문에 작가는 "여러 종류의 사전을 사서 틈틈이 공부하고 있다"면서 "차기작에선 더 좋은 모습을 보여 드리겠다"고 했다.

그가 생각하는 웹소설의 매력은 "여러 방향으로 상상을 뻗어나갈 수 있다는 점과 접근하기 쉽다는 점." 특히 독자들의 댓글을 보며 "작품에 대해 진지하게 토론하고 예리하게 다음 이야기를 추측하는 걸 보고 매번 놀랐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웹소설 시장 규모를 4300억원으로 추산한다. 2018년 기준으로 네이버 웹소설 연재 작가 중 억대 연봉을 받는 작가도 26명에 달한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구르미 그린 달빛'은 드라마로도 만들어져 성공했다. '재혼황후'도 웹툰〈사진〉에 이어 드라마화하기로 확정됐다. 알파타르트는 "생활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고양이들 사료만 조금 업그레이드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