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에 이어 더불어민주당도 비례정당을 따로 만들기로 결정함에 따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유명무실해졌다. 지난 연말 민주당과 범여 정당들이 제1야당을 배제하고 선거법 개정을 밀어붙인 명분은 군소정당들의 당선자 수를 늘려 양당제 폐해를 줄이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히려 선거법 개정 전보다 두 정당의 의석수가 더 늘어나게 됐다. 대통령제 아래서 다당제로 가는 것이 옳으냐도 논란이지만, 굳이 다당제로 가겠다고 폭력적으로 억지를 부린 것이 역효과만 불렀다.
민주당의 진짜 속내는 공수처법 통과를 위해 군소정당을 끌어들이는 미끼로 선거법을 이용한 것이다. 공수처법이 통과됐으니 군소정당들이 토사구팽당하는 것은 시간의 문제였을 뿐이다. 미래통합당은 "선거법 개정을 강행할 경우 자구책으로 비례정당을 만들겠다"고 예고했었다. 민주당은 그런데도 강행했다. 그렇다면 이런 결과가 되는 것은 이미 정해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선거제도를 도입한 다른 나라들도 다 겪은 일이다. 총선 후 다음 국회가 열리는 대로 선거법부터 원래로 되돌려야 한다. 선거법만큼은 어떤 일이 있어도 여야 합의로 개정돼야 한다는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