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는 12일 우한 코로나 감염을 막기 위해선 면 마스크로는 부족해 보건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사용한 마스크를 다시 쓰는 것은 권고하지 않는다고 했다. 우한 코로나 확산으로 마스크 부족 현상이 심해지자 정부가 면 마스크 사용이나 마스크 재사용을 당부했지만, 의협이 "효과를 검증할 수 없다"며 반대한 것이다.
의협 코로나 대책본부 전문위원회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마스크 사용 권고안을 냈다. 염호기 의협 전문위원장(인제대 호흡기내과 교수)은 "구로 콜센터 집단 확진 사례에서 보듯 인구가 밀집한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단 감염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발열이나 기침이 없는 건강한 일반인도 면 마스크가 아닌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염 위원장은 "재사용에 대해서 많은 기대가 있지만 기능을 유지하면서 살균·건조할 검증된 방법이 없다"며 마스크 재사용은 권고하지 않는다고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3일 마스크 재사용이나 면 마스크 사용을 권고한 것은 마스크 공급량이 부족한 비상 상황에서 내린 한시적 조치"라며 "보건용 마스크를 쓰면 좋겠지만, 없을 때는 안 쓰는 것보다 면 마스크를 쓰거나 재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는 얘기"라고 했다.
의협은 또 보건용 마스크 중 KF80 수준 마스크만 착용해도 감염을 예방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했다. 지난 1월 식약처는 미세 입자를 94% 걸러주는 KF94 마스크를 권고한 적이 있지만, KF94 마스크는 숨쉬기가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하려면 KF80 사용이 현실적이라고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