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모바일 앱 ‘사이다뱅크’를 출시해 20~40대 젊은 고객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를 선도하는 SBI저축은행은 핀테크를 주축으로 한 디지털 금융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SBI저축은행이 지난해 6월 출시한 앱 '사이다뱅크'는 8개월 만에 다운로드 수 40만 건을 돌파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사이다뱅크를 통해 유치한 신규 고객도 30만 명이다. 주 고객층이 중장년층인 저축은행 업계에서 사이다뱅크는 2040세대 공략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는다.

SBI저축은행은 2017년부터 핀테크 담당 태스크포스를 신설한 뒤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 고도화, 전 사업 영역 업무 효율성 제고에도 힘써 왔다. 간편결제·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스(TOSS)·페이코(PAYCO)와 서비스 제휴를 맺은 게 단적인 예다. 고객들은 토스·페이코에 별다른 절차 없이 사이다뱅크 계좌를 등록해 간편결제·송금 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토스머니나 페이코 포인트를 사이다뱅크 계좌로 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공지능(AI)·블록체인 기술 전문기업인 데일리인텔리전스와 업무 제휴를 맺고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 고도화 작업도 꾸준히 추진 중이다. CSS 고도화 작업을 통해 리스크 관리 능력을 높이고, 저축은행 주 고객층인 서민을 위한 중금리 대출을 확대했다. 기존 신용평가·대출심사와 달리 통신비 납부 내역 등의 비금융 정보도 대출 심사에 활용해, 그간 신용 정보 부족으로 대출을 받지 못하던 고객에게도 대출 문턱을 낮춘 것이다.

내부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를 위해서는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사업자 휴폐업 조회, 주소 보정, 신용회복 신청, 개인회생 등록 등 직원이 하던 업무를 자동화하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게 궁극적인 목표다. 고객 상담 업무를 대체할 챗봇 '바빌론 챗봇'도 선보였다. 상담원 전화 통화 상담 대신 휴대전화로 챗봇과 채팅하며 금융 상품 상담·가입 등의 단순 업무부터 자신의 대출한도·금리까지 조회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SBI저축은행은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 발맞춰 각 업무의 모바일·디지털화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앞으로는 핀테크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고객에게 더 편리한 서비스와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