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코로나 감염증 확진자가 발생하면 국민은 가장 먼저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와 접촉자를 궁금해한다. 그 궁금증을 풀어주는 사람들이 바로 역학조사관이다. 12일 충북 청주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이 같은 역학조사관의 업무와 어려움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박영준〈사진〉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 2팀장은 이날 "역학조사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확진자 동선과 접촉자 파악 등 현장에서 하는 종합적인 활동"이라고 했다.

역학조사는 확진자 진술에서 시작한다. 박 팀장은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 확진자 진술을 분석해 바로 현장으로 간다"고 했다. 현장에서 감염 원인을 찾고 이미 전파가 이뤄졌다면 확진자와 접촉한 이들이 몇 명인지 찾아내 격리 조치한다. 우한 코로나처럼 전파 속도가 빠른 감염병은 신속성과 정확성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박 팀장은 "5~10명의 역학조사관이 현장 출동해 6시간 내 사전 조치를 마친다"고 했다.

확진자는 개인적인 활동 내역이 모두 공개되기 때문에 진술을 꺼린다. 박 팀장은 "자신도 모르는 상황에서 감염됐고 의도하지 않게 전파자가 되는 상황에서 개인적인 내역까지 샅샅이 물어보면 확진자 입장에서는 범죄자 취급을 받는다고 생각한다"며 "'내가 왜 이런 것까지 밝혀야 하느냐'며 진술을 거부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역학조사관들은 "동선을 확인해줬을 때 가족, 지인, 나아가 지역사회가 보호받을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설득한다"고 했다.

확진자가 기억하지 못하거나 무의식적으로 빠뜨리는 동선을 찾아내는 것도 역학조사관의 몫이다. 박 팀장은 "이동 경로를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어떤 행동을 했을지 추론하는 것이 역학조사관의 능력"이라고 했다. 역학조사관은 확진자 진술에 더해 감시 카메라, 휴대전화 사용 내역, 신용카드 사용 내역 등을 확보해 정확한 정보를 찾아낸다. 박 팀장은 "잘못된 동선이 공개되면 혼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확진자의 진술을 다시 정확하게 조사하고 확인한다"고 말했다. 현재 역학조사관은 질병관리본부 소속 77명과 지방자치단체 소속 53명으로 총 130명이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