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연구개발특구 부지 안… 코렌스EM 등 20여 개 기업 입주
향후 12년간 7600억 투자… "미래형 산업구조로 재편 계기"
미래 자동차의 중심이 될 '전기차'를 위한 대규모 부품 클러스터가 부산에 조성된다. 이 클러스터는 원·하청 기업과 노사, 지역 사회 등이 서로 힘을 합해 대규모 신규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 지역발전을 꾀하는 '부산형 일자리' 사업으로 추진된다.

부산시는 6일 오전 연제구 연산동 시청 2층 로비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4개 부처 장관, 자동차부품 업체인 ‘코렌스 EM’·㈜네오오토와 협력업체 노사 대표 등 노·사·민·정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형 일자리 상생 협약식'을 가졌다.

6일 오전 부산 연제구 연산동 부산시청 2층 로비에서 ‘부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이 열리고 있다. 이 협약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지역 노·사·민·정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협약식은 코렌스 등 관련 기업의 노사와 부산시 등이 서로 힘을 합해 부산 강서구 미음·녹산·송정동 ‘연구개발특구’ 안에 대규모 전기차 부품 클러스터를 조성,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발전을 도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기차 부품 클러스터’는 연구개발특구 중 8공구 30만㎡ 가량의 부지에 코렌스를 비롯, 20여 개 관련 업체들이 입주해 첨단 전기차 부품업체들을 생산하는 기지로 조성된다. 코렌스 등 입주 업체들은 올해부터 2031년까지 모두 7600억원을 투자하고 4300여 명의 근로자를 고용할 계획이다.

시 측은 "이 클러스터 입주 원·하청 기업들이 하나가 돼 글로벌 전기차 핵심 부품 기술을 공동개발하고 동반성장하자는 것"이라며 "이들 기업은 공동연구개발기금을 조성, 기술혁신에 지속 투자하고 원청 기업의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공동 마케팅을 하는 등 전기차 파워트레인(엔진) 분야 톱3의 허브를 향해 전력을 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회사 측은 원·하청 근로자간 임금 격차를 줄이고 초과이익 발생시 포상금을 지급하면서 공동근로복지기금 조성 등 다양한 근로자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노조 측 역시 맞춤형 근로시간제 도입· 전환배치 수용 등 근로 유용성을 높이고 신기술 교육훈련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는 등 생산성 향상에 힘쓰기로 합의했다.

부산시는 연구개발특구 8공구 부지를 이들 기업에 우선 제공하고 1000억원 가량을 투입해 시설투자·지방세 감면·근로자 주거 및 보육 등에 대한 지원을 해줄 계획이다. 시 측의 주요 지원 내용은 전기차부품기술센터(250억원), 스마트 제조 시스템 실증센터(280억원) 건립, 전기차 부품 국산화 R&D(100억원), 근로자 임대주택·공동훈련센터 건설(200억원) 등이다.

시 측은 이들 지원 사업에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 오는 4월쯤 선정될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현재 광주, 밀양, 구미, 횡성, 군산 등 5개 지역이 지역 일자리 상생협약을 체결했고 괴산, 익산 등 2개 지역이 상생 협약을 할 계획이다. 이들 지역은 부산과 경쟁을 벌이게 된다.

김윤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이 사업과 관련, 계획대로 투자가 이뤄지면 연간 3조원 규모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이 창출될 것"이라며 "부산이 미래 자동차 산업의 중심이 될 ‘전기차’ 부품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발돋움하고, 지역 산업구조를 첨단·고부가가치로 재편하는 지렛대를 갖추게 됐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