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해 6월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6개월째로 접어든 가운데 열렸다. 중국 공산당 정부의 지휘를 받는 캐리 람 홍콩 정부에 대한 심판 성격이 짙다.

반중(反中)파와 친중(親中)파의 대립 속에 치러진 이번 선거의 결과가 홍콩 민주화 시위의 방향과 홍콩 사회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는 일요일인 이날 오전 7시 30분(현지 시각) 시작해 오후 10시 30분 끝난 구의원 선거에서 294만 명이 투표했다고 밝혔다. 총 투표율은 71.2%로 집계됐다. 투표 마감 한 시간 전인 오후 9시 30분에 이미 투표율이 69.04%(투표자 285만 명)를 기록해 총 투표율이 7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구의원 선거 투표율은 역대 최고 투표율을 보인 2016년 입법회 선거 기록(투표율 58%, 투표자 수 220만 명)을 깼다.

오후 9시 30분 기준 추엔완을 포함한 4개 구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했다. 투표가 끝나자마자 이미 일부 투표소에서 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4일 열린 구의원 선거에서 투표하고 있다.

18개 구의 구의원 452명을 뽑는 이번 선거엔 1104명이 후보자로 나섰다. 일반 투표소 약 610곳, 전용 투표소 23곳에서 투표가 이뤄졌다. 투표 등록을 한 유권자는 역대 최대인 413만 명으로, 2015년 구의원 선거 당시 유권자 수(312만 명)를 훌쩍 넘어섰다.

홍콩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날 이른 시간부터 홍콩 시민이 투표장으로 향하면서 각 투표소 앞에 긴줄이 생겼다. 이미 이날 오후 3~4시 195만 명 이상이 투표해 2015년 구의원 선거 총투표율 47.01%(투표자 146만 명)를 넘어섰다.

지난주 홍콩이공대를 비롯해 각 대학 캠퍼스에서 시위대와 경찰의 격렬한 충돌이 있었던 것을 감안해 이번 선거엔 경찰 3만 명이 넘게 투입됐다. 돌발 상황에 대비해 폭동 진압 경찰도 배치됐지만 시위대와 경찰 간 별 충돌은 없었다. 반중 진영에선 홍콩 정부와 경찰에 빌미를 주지 않고 투표를 통해 캐리 람 정부를 심판하자는 뜻에서 평화적인 선거와 투표를 독려했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2022년 행정장관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꼽힌다. 홍콩 행정장관은 중국 정부가 지명한 인물을 놓고 대의원 1200명이 투표하는 간선제(間選制) 방식으로 선출된다. 이번에 선출되는 구의원 452명 중 117명이 대의원 선거인단에 포함된다. 범민주계인 야당이 이번 선거에서 승리하면 117명 선거인단을 차지하게 된다. 한국의 국회 격인 입법회 의석 6석도 확보할 수 있다. 현재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홍콩 시민은 1인1표 직접선거를 통한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