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온라인 불법 정보 유통 창구인 ‘다크웹'(Dark web)’ 수사를 확대한다.

민갑룡(사진) 경찰청장은 18일 오전 출입기자단 질의에 대한 서면 답변서에서 "경찰청 사이버수사과 다크웹 수사팀에서 담당하던 다크웹 수사를 지난 주부터 지방청 사이버수사대에서도 진행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다크웹은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접속을 위해서는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폐쇄형 웹을 말한다. 최근 아동 불법 성착취 동영상, 마약 등 여러 범죄의 유통 경로로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주소(IP)를 바꾸고 통신 내용을 암호화해 추적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경찰청은 다음달까지 다크웹 추적시스템을 구축해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민 청장은 "올 연말까지 ‘다크웹 불법정보 추적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인력과 역량을 키워갈 방침"이라며 "다크웹 관련 추적기법 연구, 초청교육 등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경찰청은 지난 15일 본청 사이버안전국을 중심으로 전국 지방청 사이버수사대 간부들이 참여하는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경찰은 전국 17개 지방청에서 총 41개 다크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관련 언론보도가 증가하면서 호기심에 접속, 아동 성착취물 등 불법정보를 내려받거나 유통 시킬 경우 처벌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경찰청은 오는 25~26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와 관련, 경비경호 태세를 강화할 방침이다.

민 청장은 "지난 6월부터 경찰청과 부산지방경찰청에 경호경비기획단을 구성하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했다.

경찰은 오는 23일부터 부산청에 가용경력과 장비를 총동원하는 최고 경계수위 ‘갑호’ 비상근무를 발령할 예정이다. 24일에는 국제경찰협력센터(IPCC)를 개소하고, 한국 경찰과 아세안국가 경찰, 인터폴 등이 공동으로 테러정보를 공유하고 테러혐의자 정보수집·분석·조치 등에 나선다.

민 청장은 "각국 정상에 대한 경호안전 확보와 테러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간 주요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른 경험을 바탕으로 행사장이나 위험요소에 관한 분석, 예상되는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반영해 종합적 경호경비 대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