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김포와 제주, 김해 등 전국 14개 공항에서 근무하는 보안·경비·미화·시설 운영 근로자들이 오는 18일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12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앞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소속 노조원들이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KAC공항서비스 지부는 12일 서울 김포공항 앞 택시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본사인 한국공항공사 측에 온전한 정규직 전환을 위한 예산 편성과 제도 개선, 자회사 분할 반대 등을 요구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또 기본급 6% 인상과 성과급 지급 기준 변경, 성과급 12개월 분할 지급, 근속수당, 기술수당, 명절 휴가비, 상생협력비, 일근자 임금보전 등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정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기존 용역 위탁에 편성됐던 일반 관리비와 이윤을 근로자 처우 개선에 활용하도록 했으나, 한국공항공사는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며 "그 결과, 자회사 근로자들의 임금과 처우는 전환 전에 비해 나아지지 않고, 성과급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KAC공항서비스지부, 전국 KAC공항서비스 노조, 민주노총 공공연대노조, 전국시설관리 노조 조합원은 최근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이 투표에는 조합원 909명 가운데 877명이 참가했으며, 92.3%의 찬성률로 파업이 가결됐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 예고한 공항 파업에는 보안·경비·미화·시설 운영 등을 맡고 있는 근로자 1400여 명 중 600여 명이 참여하고, 필수유지 인력으로 350명이 현장에 배치된다.

노조는 또 "한국공항공사는 최저임금 인상회피를 위한 꼼수를 중단하고, 온전한 정규직 전환을 위해 성의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했다.

자회사 노조는 본래 한국공항공사와 위탁계약을 맺은 용역업체 비정규직 근로자였으나, 지난해 6월 노·사·전문가협의회 결과에 따라 올해 말까지 순차적으로 자회사 정규직 전환을 진행 중에 있다. 노조에 따르면 소방과 폭발물 처리반(EOD) 약 297명은 한국공항공사가 직접 고용했고, 공항 운영과 시설관리, 보안 방재 분야의 3800여 명은 임시 자회사인 KAC공항서비스에 고용됐다.

이에 대해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이들은 올해까지 임시 자회사인 KAC공항서비스로 정규직 고용이 됐다가, 올 7월 노·사·전문가 상생협의회 합의에 따라 분할 예정인 각각의 자회사에 소속될 예정"이라며 "임금과 처우 등은 수백개로 흩어져 있던 용역 업체의 근로자들을 자회사(KAC공항서비스) 하나로 묶는 과정에서 세부적인 내용이 달라진 것으로, 의도된 차별이라고 볼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이어 "이들 파업으로 공항 운영에 큰 차질이 없도록 준비할 예정"이라며 "자회사 노조 요구에 관한 교섭은 자회사인 KAC공항서비스가 전적으로 맡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