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좌파 교육감인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사진〉이 26일 개인 페이스북에 "(10·26인) 오늘은 탕탕절"이라는 글을 올렸던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장 교육감은 비판이 일자 해당 글을 뒤늦게 삭제했다. 정치적 중립성을 지켜야 할 교육감이 이념 편향적인 글을 공공연하게 올린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탕탕절'은 일부 좌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시해당한 날(10월 26일)을 희화화하기 위해 쓰는 말로, '탕탕'은 총격 소리를 뜻한다.

장 교육감은 26일 오전 페이스북에 "오늘은 탕탕절. 110년 전 안중근 의사께서 일제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격살한 날, 또 40년 전 김재규가 유신 독재의 심장 다카키 마사오(박 전 대통령의 창씨개명 이름)를 쏜 날"이라며 "기억합시다"라는 글을 올렸다.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날이 공교롭게 10월 26일이라는 의미에서 안중근을 김재규에, 이토 히로부미를 박 전 대통령에 비유한 것이다. 좌파 네티즌들은 이 때문에 "탕탕절은 러키데이(운 좋은 날)"라고 조롱하고 있는데, 한 지역 교육 수장인 교육감이 이를 인용한 것이다.

장 교육감은 고교 역사 교사 출신으로 전교조 광주지부장을 지낸 대표적인 친(親)전교조 교육감이다.

장 교육감은 본지 통화에서 "본인이 쓴 글이 맞는다"고 했다. 장 교육감은 "10월 26일이 여러 역사적 사건이 벌어진 중요한 날이라 그런 의미들이 괜찮겠다 싶어서 (탕탕절이라는 용어를) 쓴 것"이라며 "하지만 주변에서 '용어나 내용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와서 저녁때 삭제했다"고 말했다.

또 박 전 대통령을 다카키 마사오라고 칭한 것에 대해서 "전 대통령이지만, 정식 이름을 쓰는 것은 또 다른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고 봤다"며 "친일을 했다는 분들의 주장이나 이야기를 들으면 박정희씨가 일제시대에 만주군 군관을 했기 때문에 그(일제식) 이름을 쓰는 게 낫겠다 생각한 것"이라고 했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교육감이 좌파 인터넷 용어를 활용해 정치적 편향성을 드러낸 것이란 비판이 나온다. 한국교총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중립을 지켜야 하는 교육감이 편향적인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건 큰 문제"라며 "선출직 교육감의 이념 편향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했다.

정치권도 비판하고 나섰다. 자유한국당 장능인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광주교육감이 박 전 대통령의 서거일을 '탕탕절'로 부르며 안중근 의사와 김재규를 동일시하고 있다"며 "심각히 왜곡된 역사 인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도 이날 소셜미디어에 "(극우 커뮤니티인) 일베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날을 투신했다고 해서 중력절이라 부르는데 박 대통령 서거일을 탕탕절이라 부르는 것도 좌파 일베의 행태"라며 "장 교육감은 교육자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