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쪽 중앙의 서헌만 대표원장 시계방향으로 김한겸 청주지웰신경외과 원장, 서수지 부원장, 서소운 원장.

치료에도 때가 있다.

병(病)을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하거나 회복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많다. 치료 시기만큼 중요한 게 있다. 통증 원인을 정확히 잡아내고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일이다. 이는 모든 질병 치료의 핵심이다.

주삿바늘이나 침이 혈관·척수강 안에 들어가거나, 신경·기타조직에 손상을 주는 MRI·CT·C-arm·초음파 등에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시술 의사는 잘 판단해 합병증·부작용을 피해야 한다.

◇다양한 원인의 만성통증… 기존 치료법 틀 깨야

척추관협착증과 만성 디스크(추간판탈출증), 오십견, 테니스엘보 등은 대표적인 만성 통증 질환이다. 만성 통증은 6개월 이상 증세가 이어지고 불면증과 식욕 저하 등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만성 통증의 경우, 통증을 일으키는 부위를 정확히 진단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엑스레이(X-ray),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정밀 검사로도 발견하기 어려운 병변을 찾아내고 각 원인에 맞게 다양한 치료를 적용해야 한다.

하지만 통증 원인을 정확히 잡아내기란 쉽지 않다. 특히 목·허리 디스크로 인한 급·만성 통증이나 등(흉추) 통증, 척추협착증 등은 통증의 원인이 복잡한 경우가 많다. 하나의 치료법으로 병을 완전히 치료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척추관협착증, 삼차신경통, 턱관절 통증 환자의 경우 각종 수술을 받고도 크게 호전되지 않았다면 또 다른 통증 원인을 찾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 요추 협착증이나 수술 후 통증증후군도 통증 원인이 매우 다양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러 부위에 발생한 척추관협착증도 다양한 병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MRI에 보이는 원인과 보이지 않는 원인을 구분해 찾아내야 한다. 자고 일어날 때, 앉아 있을 때, 걸을 때 등 각기 다른 상황에서 느껴지는 통증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급·만성 통증이나 등(흉추) 통증, 척추협착증 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존 치료법의 틀을 깰 필요가 있다. 만성통증을 앓는 환자는 ‘0.3㎜ MTS needle(엠티에스 니들)’을 활용한 치료를 받으면 도움이 될 수 있다. 0.3㎜ MTS needle을 이용한 치료법은 기존 통증 치료에 쓰이는 신경차단술을 비롯해 통증유발점 주사(TPI), 인대·건강화술 둥 여러 방법을 동시 적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①척추 여러부위 골절과 디스크(추간판탈출증), 협착증으로 고생한 환자. ② 디스크와 협착증으로 인한 허리통증과 움직임장애로 고생한 환자. ③ 경추 부위에 후종인대골화증·추간공협착증 등을 앓는 환자.

◇부작용 줄이고 효과 높인 ‘0.3㎜ MTS needle’

서헌만통증의학과의 서헌만 원장은 지난 2005년부터 0.3㎜ MTS needle과 가이드를 활용해 만성 통증·신경 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MTS needle과 가이드를 활용해 다양한 통증 질환과 뇌, 신경질환 등을 치료하는 시술법이다. 프롤로테라피와 근육 내 자극술, 신경 차단술 등 이미 개발된 수술·비(非)수술 치료법을 동시에 적용해 효과를 끌어올린다. 한국과 미국에서는 주삿바늘과 가이드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MTS needle을 이용한 치료는 다른 치료법과 달리 병든 조직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정상화한다. 지름이 0.3㎜에 불과한 가느다란 바늘을 통증을 일으키는 부위에 정확하게 꽂아 치료한다.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신경을 주삿바늘로 자극하며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주변 조직이나 장기를 건드려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작고 출혈이 거의 없다. 환자가 느끼는 고통도 기존 치료보다 크게 줄었다. 주삿바늘 입구에 특수 제작한 마개를 달아 세균에 감염될 가능성도 적다.

진통제나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을 사용할 필요도 없다. 병변을 정상적으로 재생시키는 자연 치유 방식이라 부작용이 적고 재발 확률도 낮다. 스테로이드는 통증 완화 효과는 크지만, 오랜 기간 투여하면 피부 손상 등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TS needle을 이용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 병변 부위를 찾아 시술할 줄 아는 의료진의 능력도 중요하다. 서 대표원장은 서소운 서헌만통증의학과 원장, 서수지 부원장, 김한겸 청주지웰신경외과 원장과 함께 통증 치료에 관한 임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서 대표원장은 “세밀한 환자 문진과 다양한 이학적 검사를 진행해 병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찾고 손상된 조직을 치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