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수출 심사 우대국(화이트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내용의 법령 개정안을 공포한 7일 서울시내 곳곳에서 반일(反日) 시위가 벌어졌다. 친북(親北) 단체 중심의 일부 시위대는 단순 항의나 일제(日製) 불매를 넘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를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했다.
민노총 산하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는 7일 오전 10시 30분쯤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즉각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노조원 30여명이 'NO 아베' 'NO 한·일 군사협정'이라는 손팻말을 들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는 아베 정권의 도발에 강경하고 확고하게 행동해야 한다"며 "적폐 정권하에서 밀실로 체결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폐기가 그 첫걸음"이라고 주장했다.
옛 통합진보당 출신이 주축인 민중당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폐기'를 주장하는 1인 시위를 동시 다발적으로 벌였다. 당원들은 서울 관악구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과 노원구 지하철 4호선 상계역 등에서 '지소미아 당장 폐기' '강제징용 사죄·배상하고 경제 보복 중단'이라는 피켓을 들었다.
친북(親北) 단체인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 회원 70여명은 오전 11시쯤 서울 중구 미쓰비시상사 한국 사무소 앞에서 규탄 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사죄하라" "배상하라" 등 구호를 외쳤고, 가져온 욱일기를 찢었다. 이들은 미쓰비시 측에 항의 서한문도 전달하려 했지만 접수를 거부당했다.
서울 성북구 주한 일본 대사관저 앞에서도 시위가 잇달았다. 오전 5시 20분쯤 '애국국민운동대연합'이란 단체 대표가 관저 앞을 한 시간가량 승용차로 막고 '출근 저지 시위'를 벌였다. 그는 관저 앞 도로에 '고추장이 섞인 물'을 담은 비닐봉지 2개도 던졌다. 그는 비닐봉지 내용물이 "독립군과 위안부, 강제징용 피해자가 흘린 피의 상징"이라고 했다.
오전 9시쯤엔 시민단체 활빈단 회원 2명이 고추와 좁쌀을 들고 대사관저 앞에 나타났다. "한국 경제에 고춧가루를 뿌리지 말라는 의미의 고추, 아베 신조의 좁쌀 같은 마음이란 의미의 좁쌀 등을 일본에 전달하겠다"고 했지만, 경찰에 저지당했다. 일본 대사관 앞에서는 정의기억연대 회원 등 수백명이 "노(No) 재팬"을 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