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지난 5월 북한이 파괴했다고 주장한 풍계리 핵실험장 일부가 원상 그대로(intact)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이는 등 파괴 정도가 불분명해 검증을 위해 제대로 된 사찰이 중요하다고 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의 하나로 "사용할 수 없도록 폭파했다"고 주장하는 곳이다.

38노스는 12일(현지 시각) '풍계리 핵실험장: 현 상황과 미래의 사찰'이라는 글에서 지난 10월 31일과 한 달 뒤인 11월 30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갱도 입구 폐쇄와는 별도로 이 구역들의 파괴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지난달 위성사진을 보면 행정지원 시설과 지휘 본부 안에 있는 가장 큰 두 개의 건물이 온전한 상태이며, 행정지원 구역 내에서 개간 활동이 이뤄진 정황도 관찰됐다는 것이다. 또 20여 명의 인력이 남쪽 지원 구역 내 현장에서 발견됐는데, 북한이 핵실험장을 완전하게 폐기한 것이 아니라는 추가 증거가 될 수 있다고 38노스는 밝혔다.

풍계리 핵실험장의 도로는 잘 유지돼 있었고 실험구역으로 이어지는 눈 덮인 주요 도로에 차량이 지나간 흔적도 선명했다. 이를 근거로 38노스는 "풍계리 핵실험장이 일단 폐쇄됐지만, 북한이 실험을 재개하기로 결정한다면 재가동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라며 "해빙이 끝날 경우 북한이 풍계리 또는 다른 지역에서 시험을 재개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보장할 수 없다"고 했다.

앞서 미 국무부는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10월 7일)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불가역적 해체를 확인하기 위한 사찰단 방문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후 미·북 대화가 교착에 빠지며 후속 조율은 진전이 없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