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사법 당국은 북한을 위해 간첩활동을 한 혐의로 체포했던 프랑스 상원 의원 소속 공무원 브누아 케네데를 29일(현지 시각) 정식 기소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NK뉴스가 30일 보도했다.

프랑스 국내 정보기관 안보총국(DGSI)은 지난달 25일 프랑스조선친선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캐네데를 '외국 세력에 정보를 제공한 반역죄' 혐의로 체포해 구금했다. DGSI는 케네데가 불법으로 북한에 정보제공 활동을 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

북한을 위해 간첩활동을 한 혐의로 프랑스 사법당국에 의해 기소된 프랑스 상원 의원 소속 공무원 브누아 케네데가 2017년 1월 30일 개인 인터넷 방송을 하고 있다.

DGSI는 1년 전부터 케네데를 집중 관찰하기 시작했고, 지난 3월 그에게서 혐의점을 포착해 내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리 검찰도 지난 3월부터 케네데를 상대로 해외 권력 기관을 위해 정보를 수집 및 누출해 기본적인 국익을 훼손했는지를 조사해왔다. DGSI는 25일 케네데를 체포하기 전날 그의 파리 자택과 상원의 사무실, 부모님 집을 수색했다.

이후 프랑스 사법당국은 29일 케네디를 반역죄로 정식 기소했다. NK뉴스는 "케네데의 친북 성향을 고려할 때 ‘외국 세력’은 북한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사법당국의 기소와 함께 케네데는 출국 금지 조치와 직장 활동, 타인과의 접촉 제한 조치를 받았다

케네데는 현재 프랑스 상원에서 건축과 문화유산, 정원 등을 관리하는 부서에서 행정과 재정 업무를 담당하는 입법 전문 관료로 일하고 있다. 그는 프랑스조선친선협회를 통해 프랑스와 북한과의 밀접한 교류를 주장해왔다. 아울러 케네데는 올해 9월 9일 북한 정권수립일을 포함해 2008년부터 최소 7차례 북한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는 ‘알려지지 않은 북한’(Unknown North Korea)’이라는 북한 관련 책도 출간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29일 "케네데의 반역죄가 확정되면 최고 10년을 구형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