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각) 예정대로 오는 6월 12일에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공개 서한을 통해 전격적으로 미·북 정상회담 취소를 선언한 지 하루 만에 다시 회담 성사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해군 사관학교 졸업식 참석을 앞두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과 지금 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하지만 (정상회담이) 6월 12일에 열릴 가능성도 있다”면서 “북한이 정상회담 개최를 매우 원하고 있고, 우리도 회담 개최를 원한다”고 했다.

그는 전날 미·북 정상회담을 열지 못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사람들은 게임을 즐기곤 한다”고도 했다.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이 양국 간 정상회담 협의가 정상궤도로 복귀한 것임을 뜻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일단 북측이 미·북 정상회담 복귀 쪽으로 방향을 튼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하루 만에 태도를 바꾼 것은 김계관 외무성 1부상이 ‘유화 제스처’를 담은 성명을 발표한 영향이 컸다. 김계관은 25일(한국 시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의) 위임에 따라 담화를 발표한다”며 “우리는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 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 측에 다시금 밝힌다”고 했다.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직설적으로 비난했던 김계관이 태도를 완전히 바꿔 ‘공손한 어조’로 돌아선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계관 외무성 1부상의 성명 발표 이후 트위터에 반응을 남겼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계관의 성명에 대해 트위터를 통해 “북한으로부터 따뜻하고 생산적인 성명을 받은 것은 매우 좋은 소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북한의 행보가 어디로 흘러갈지, 장기적으로 번영과 평화를 가져다줄지 지켜볼 것”이라며 “기다리다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