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2일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평화와 정의)을 국회에 등록했다. 이로써 현재 국회 내 교섭단체는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평화와 정의 등 4개가 됐다.
평화와 정의의 출범으로 여야 5당 4교섭단체로 진행되는 4월 임시국회에서 주요 현안인 개헌 이슈가 어떻게 다뤄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평화와 정의는 친여(親與) 성향으로 분류되고 있다.
양당은 이날 오전 국회사무처에 제4 교섭단체 등록 공문을 제출했다. 평화와 정의의 소속 의원은 20명이다. 민주평화당 14명·정의당 6명으로 이뤄졌다. 평화와 정의 소속 의원 20명은 이날 의원총회와 의원들 간 오찬을 겸한 상견례를 열기로 했다.
초대 공동 원내대표는 민주평화당 장병완, 정의당 노회찬 의원이 맡기로 했다. 노 원내대표는 이날 정 의장이 주재하는 교섭단체 대표 회동에 참석하는 것을 시작으로 여야 협상 테이블 데뷔전을 치렀다.
노회찬 원내대표는 이날 정 의장과 교섭단체 대표 정례 회동에서 “그동안 교섭단체가 아니란 이유로 (정례 회동에) 참여하지 못했는데, 마침 평화당과 문이 열려서 오게 됐다”며 “여의도에 정의와 평화가 넘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노 원내대표는 “개헌이 가장 큰 현안이라 생각한다. 개헌 문제는 권력 구조와 선거 제도 두 가지 풀면 나머지는 쉽다”며 “(개헌 논의에서) 각 정당이 속도를 내도록 저희 당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장병완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평화당 회의에서 “오늘부터 시작되는 4월 임시국회에서는 개헌 협상과 남북·북미 정상회담, 지방선거 등 중요한 정치 일정들이 있다"며 “평화의 정의의 모임이 폐쇄적으로 운용된 국회 운영에 새바람을 일으키겠다. 각 당의 이해관계가 아닌 국민의 바람을 수용하는데 초점을 맞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화와 정의는 8대 정책 공조 과제로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노력’,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에 앞장’, ‘특권없는 국회와 합의민주주의 실현’, ‘노동존중 사회와 좋은 일자리 만들기’, ‘식량주권 실현과 농축수산업을 미래·생명·환경산업으로 육성’, ‘골목상권과 중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육성’ ‘미투(#Metoo) 운동 지지, 성평등 사회를 실현’ ‘검찰과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에 앞장’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