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중국 베이징에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다는 설이 도는 가운데 베이징 시내를 달리는 북한 열차의 모습이 베이징 시민들에 의해 여러 차례 목격됐다. 사진은 중국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보에 올라온 북한 열차 모습.
26일 중국 베이징에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다는 설이 도는 가운데 베이징 시내를 달리는 북한 열차의 모습이 베이징 시민들에 의해 여러 차례 목격됐다. 사진은 중국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보에 올라온 북한 열차 모습.
26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다는 설이 제기된 가운데 베이징 도심에서 검은색 차량들이 오토바이 경호대와 함께 지나가고 있고 있다. 사진은 중국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먀오파이’에 게재된 제보 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26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다는 설이 도는 가운데, 경찰이 댜오위타이 국빈관 인근에서 삼엄한 경비를 서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날 북한의 최고위급 인사가 방중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가 김정은 위원장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그러나 3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 위원장이 방중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닛폰TV 계열 NNN은 26일 오후 베이징에 북한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열차가 삼엄한 경비 속에 도착하는 모습을 포착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21량 편성의 열차가 베이징역에 도착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통신도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 "김정은이 2011년 권력을 잡은 뒤 첫 외국행으로 베이징에 깜짝 방문했다"면서 "김정은이 누구를 만나고 얼마나 오래 머물지 등 세부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사진은 이날 밤 베이징 다오위타오 국빈관으로 삼엄한 경비 속에 차량들이 진입하는 모습.
26일 중국 베이징에 북한 최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다는 설이 도는 가운데 인민대회당 북문을 통해 북한 측 차량 행렬이 중국 공안의 호위를 받아 빠져 나가고 있다.
지난 2010년 5월 4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타고 온 특별열차가 다롄역에 숨겨져 있다. 외관은 짙은 녹색에 노란색 줄이 있고 기관차 앞과 옆에 'DF-0001' 번호가 찍혀 있으며 행선지 표시는 따로 없다. 창문은 모두 선팅 처리된 방탄창으로 돼 있다.
2011년 8월 21일 아무르 현지 인터넷 매체 포털 아무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오늘 "큐피드의 도시"라고 불리는 부레야 지역에 도착했다"며 특별열차에서 내려 영접행사를 갖는 김정일의 사진을 공개했다.
2011년 5월 24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일행을 태운 특별열차가 난징역을 출발해 베이징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